삼일아카데미_삼일학 연구원
삼일학연구원 최근게시글

춘천 중도 선사유적지
[이덕일 역사TV] 세계적인 고조선 유적지에 레고…
[춘천 중도 고조선 유적지의 역사적 고찰] 3. 단…
[춘천 중도 고조선 유적지의 역사적 고찰] 2. 고…
[춘천 중도 고조선 유적지의 역사적 고찰] 1. 춘…
[반크] 레고랜드 플라스틱 장난감에 의해 어이…
정길선의 북방유라시아 유목사 산책
포르투갈의 고인돌 문화 - 카스트로 문화(Castro c…
알타이의 텡그리를 바라보며...
투르크-타타르의 Умай (우마이) 여신에 대하여
페르가나의 지형
고대 중앙아시아 유목민족들의 개념
유범식의 천지자연의 법 조선철학
3. 혁명을 사랑하는 이들을 위하여 [우리의 조선…
3. 혁명을 사랑하는 이들을 위하여
2. 뿌리없는 사상적 흐름을 경계하며
제5장 한국 사회운동 단편 - 1. 노동자운동의 기…
존엄어린 죽음 - 인신공양 / 평화의 땅에서 살육…
팔봉산의 하나민족 이야기
한국인의 하나복본 5
한국인의 하나복본 4
한국인의 하나복본 3
한국인의 하나복본 2
한국인의 하나복본 1
한길 백공종사의 배달학당
白空 한길 종사님의 천부경 강의(73)
한길 백공종사님의 천부경 강의(72)
한길 백공종사님의 천부경 강의(71)
천부경을 빛깔로...天一一 地一二 人一三 (천일…
천부경을 빛깔로...析三極無盡本(석삼극 무진본
화니의 재미있는 桓세상이야기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13] 사람이 바뀌지 않으면…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12] 잘못됨을 알면서도 바…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11] 무엇보다 홍익하는 자…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10] 아무리 지식이 많아도…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9] 애국애족은 쉽지 않다.…
김응렬의 생각없이 읽는 철학
[다석 유영모 명상록_1] 出于天來歸終天
[책속의 한 줄 - 6_2] At the Feet of the Master
[책속의 한 줄 - 6_1] At the Feet of the Master
[돌아보기 - 10] 四無量心 : 네 가지의 무한한 마…
[옛글 공부 - 11] 중용 : 우리 시대에 더욱 필요한…
이강산의 통일을 위한 한민족 역사공부방
가섭원부여기 [복애거사 범장 찬] 시조 해부루
북부여기 [복애거사 범장 찬] 북부여기하 _ 5세 …
북부여기 [복애거사 범장 찬] 북부여기상 _ 3세 …
북부여기 [복애거사 범장 찬] 북부여기상 _ 시조…
단군세기(檀君世紀) 제46세 단군보을 / 제47세 단…
조홍근의 홍익인간 7만년 역사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7대 두밀 …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7대 두밀 …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6대 추로 …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5대 솔나 …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5대 솔나 …
박현우의 가림토한글
한울(○).가를(十)
을미일 왕께서 아뢰시니
고한글 가릶톬
動動歌(동동가)
한 얼을 찾아서. [산해경 해내북경..氷夷(빙이)…
김용성의 태극한글 "신획"
[미치다]의 어원은 [밑+치다]입니다. (2)
마츄픽츄는 원주민 언어로 오래된 이라는 뜻
치우천황은 누구인가? 치우기록들!
시애틀에 대한 어원 고찰
우리말로 읽어야 뜻을 아는 영어
천부경, 삼일신고를 논하다
[참한역사신문] 마고천부경(麻姑天符經) 해독 … (3)
[참한역사신문] 천부경의 내력
[참한역사신문] 묘향산 석벽본 천부경(天符經) …
[참한역사신문] 부도지와 천부…
[조홍근의 천부역사태학원] 하늘, 하늘님이란 - …
치화경治化經 인간366사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3훈 '사랑'에 대…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3훈 '사랑'에 대…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3훈 '사랑'에 대…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3훈 '사랑'에 대…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3훈 '사랑'에 대…
성미경의 삼일사랑방
2022 배달문화원 애국가 - 독립군가
[KBS 다큐] 대장경에 담긴 '천년의 진리' -…
[배달문화원 개천이야기9-02] 3·1독립선언서(三…
[배달문화원 개천이야기9-01] 대한독립선언서(大…
[배달문화원 개천이야기 9] 대한독립선언서와 3…

aljago_20110527_01.jpg 치화경治化經 인간삼백육십육사
 
  인간366사 제8훈 응함 _ 제3장 「응함」은 맑음으로 오는 것이니라.
  
   작성자 : 배달문화원
작성일 : 2021-02-27     조회 : 2,553  

치화경治化經 인간366사

8훈「응함」에 대한 말씀 / 八訓 應(응)
단군 한배검님께서 말씀하시기를
「응함」에는 악한 것은 재앙의 갚음을 받고 착한 것은 복의 갚음을 받는 것이니 
여섯 가지 결과와 설흔 아홉 가지 형상이 있느니라.

第八訓 應ㆍ응
應者 惡受禍報 善受福報 有六果三十九形.
응자 악수화보 선수복보 유육과삼십구형.

제3장 응함은 맑음으로 오는 것이니라.
몸이 맑으면 복이 응하나니, 온 사람이 덕을 이루어 하늘 아래 한 사람도 성품을 잃음이 없으며 백성은 한 가지 일도 법을 어김이 없고 나라의 근본을 밝게 징험하느니라.
사람들은 정으로 적절히 합하고 물건의 힘을 두루 보호하여 무리와 함께 즐기며 다같이 의식을 하느니라.
第三章 淡ㆍ담
體淡則福應 全人成德 天下無一人失性 百姓 無一事違法 明徵國體 切合人情 周護物力 樂取與衆 同爲準式.
체담즉복응 전인성덕 천하무일인실성 백성 무일사위법 명징국체 절합인정 주호물력 락취여중 동위준식.


제1절 복이 응할지어다.
일생에 시비가 없고 일생에 질병이 없으면 늙음에 자손의 드림을 받고 
좋은 벗과 함께 세월을 보내게 될 것이니라.
第一節 應福ㆍ응복 
一生 無是非 一生 無疾病 老受子孫亨 良朋 送歲月.
일생 무시비 일생 무질병 노수자손형 양붕 송세월.


제2절 창고가 넉넉할지어다.
넉넉한 사람이 관리하는 창고는 오곡이 가득하고 정성과 믿음으로 일을 하면 
곡식을 사고 팔음에 스스로 권세를 손에 쥐어도 탈이 없게 될 것이니라.
第二節 裕庫ㆍ유고
管裕人之庫 五穀 充滿 誠信爲事 伊糴伊糶 自手權柄 無厄.
관유인지고 오곡 충만 성신위사 이적이조 자수권병 무액.


제3절 액이 없을지어다.
환란이 이미 사라지므로 어려움과 근심이 없고, 곤욕이 이미 비었으므로 곤하고 욕됨이 없으며, 액의 기회가 이미 다했으므로 액이 없게 될 것이니라.
第三節 無厄ㆍ무액
患難 已消故 無患難 困辱 已空故 無困辱 厄會 已盡故 無厄會.
환난 이소고 무환난 곤욕 이공고 무곤욕 액회 이진고 무액회.


제4절 이로움이 따를지어다.
방해는 물러가 흩어지고 이익은 따라와 이르니 이익의 가벼움과 이익의 무거움은
부지런함의 작음과 부지런함의 큼에 있게 되느니라.
第四節 利隨ㆍ이수
妨害 退散 利益 隨至 利益之輕 利益之重 勤之小 勤之大.
방해 퇴산 이익 수지 이익지경 이익지중 근지소 근지대.


제5절 하늘이 걷힐지어다.
재앙이 사라지고 재액이 물러가면 푸른 하늘에 구름 걷힌 것 같아서 
모든 착한 사람의 아내는 남편과 화합하여 복을 같이 하고 남편없는 착한 여인은 
자손과 화합하여 복을 같이 하게 될 것이니라.
第五節 天捲ㆍ천권
殃消災退 如靑天之捲雲 諸善人妻 和夫同福 無夫善女 和子孫同福.
앙소재퇴 여청천지권운 제선인처 화부동복 무부선녀 화자손동복.


자료 : 배달문화연구원 "배달전서"


 baedal_mark.jpg
배달문화원은 함께하는 홍익의 장으로서
한민족 정신문화 발전을 지향합니다.
 
 
TOTAL 64
바른 이름 인간삼백육십육사(人間三百六十六事)에 대하여...(2)
⑶ 환단고기 범례(凡例)" 一. 고기(古記)의 인용은 일연(一然)씨의 유사(遺事=삼국유사)에서 시작하였으나 고기를 얻어 볼 수 없으므로 삼성기, 단군세기, 북부여기, 태백일사를 합하여하나의 책으로 만들고 이름을 환단고기(桓檀古記)라 하였다.또 〈천부경〉과 〈삼일신고〉 두 개 글의 전문이 다 들어 있으니, 실로 낭가의대학이나 중…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17-08-07  |  Hit: 2912
바른 이름 인간삼백육십육사(人間三百六十六事)에 대하여...(1)
바른 이름(正名) 인간삼백육십육사(人間三百六十六事)최 동 원 ( 천부보전 대표 천부경강전 저자 ) Ⅰ. 서 론 천부경(天符經)을 시원(始源)으로 하는 환인족(桓人族)의 역사에서 우리 겨레는 숭고한 경전의 가르침을 통하여 찬란한 문화의 꽃을 피워 왔는데 어느 때부터인가 단군조선국의 역사에 대하여 왜곡이 심한 것을 알았…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17-08-07  |  Hit: 3011
64.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3훈 '사랑'에 대한 말씀 | 제5장 사랑은 가르치는 …
인간366사(참전계경) 第三訓 愛(애)  / 제3훈 「사랑」에 대한 말씀  第五章 敎(교) / 제5장 사랑은 가르치는 것이니라. 第一節 顧賦(고부)ㆍ제1절 타고난 바를 돌아볼지어다. 第二節 養性(양성)ㆍ제2절 성품을 기를지어다. 第三節 修身(수신)ㆍ제3절 몸을 닦을 지어다. 第四節 湊倫(주륜)ㆍ제4절 윤리에 합할…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5-04-03  |  Hit: 15
63.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3훈 '사랑'에 대한 말씀 | 제4장 사랑은 기르는 것…
인간366사(참전계경) 第三訓 愛(애)  / 제3훈 「사랑」에 대한 말씀  第四章 育(육) / 제4장 사랑은 기르는 것이니라. 第一節 導業(도업)ㆍ제1절 생업을 인도할지어다. 第二節 保産(보산)ㆍ제2절 산업을 보전할지어다. 第三節 奬勤(장근)ㆍ제3절 부지런함을 권할지어다. 第四節 警墮(경타)ㆍ제4절 뒤떨어짐을 …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5-04-02  |  Hit: 63
62.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3훈 '사랑'에 대한 말씀 | 제3장 사랑은 베푸는 것…
인간366사(참전계경) 第三訓 愛(애)  / 제3훈 「사랑」에 대한 말씀  第三章 施(시) / 제3장 사랑은 베푸는 것이니라. 第一節 原喜(원희)ㆍ제1절 기쁨의 근원일지어다. 第二節 認懇(인간)ㆍ제2절 알아서 정성껏 할지어다. 第三節 矜發(긍발)ㆍ제3절 불쌍히 여길지어다. 第四節 公頒(공반)ㆍ제4절 공평하게 나눌지…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5-03-31  |  Hit: 98
61.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3훈 '사랑'에 대한 말씀 | 2장 사랑은 용납하는 것…
인간366사(참전계경) 第三訓 愛(애)  / 제3훈 「사랑」에 대한 말씀  第二章 容(용) / 제2장 사랑은 용납하는 것이니라. 第一節 固然(고연)ㆍ제1절 자연히 굳을 지어다. 第二節 情外(정외)ㆍ제2절 진정이 아닐지어다. 第三節 免故(면고)ㆍ제3절 일부러함을 피할지어다. 第四節 全昧(전매)ㆍ제4절 어두움에서 벗어…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5-03-27  |  Hit: 140
60.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3훈 '사랑'에 대한 말씀 | 제1장 사랑은 용서하는 …
인간366사(참전계경) 第三訓 愛(애)  / 제3훈 「사랑」에 대한 말씀  第一章 恕(서) / 제1장 사랑은 용서하는 것이니라. 第一節 幼我(유아)ㆍ제1절 내 몸같이 할지어다. 第二節 似是(사시)ㆍ제2절 옳은 것같이 할지어다. 第三節 旣誤(기오)ㆍ제3절 이미 그릇될 수도 있을지어다. 第四節 將失(장실)ㆍ제4절 문득 …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5-03-18  |  Hit: 139
59.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2훈 '믿음'에 대한 말씀 | 제5장 믿음은 도는 것이…
인간366사(참전계경) 第二訓 信(신) / 제2훈 「믿음」에 대한 말씀  第五章 循(순) / 제5장 믿음은 도는 것이니라. 第一節 四時(사시)ㆍ제1절 네 계절이 있을지어다. 第二節 日月(일월)ㆍ제2절 해와 달이 있을지어다. 第三節 德望(덕망)ㆍ제3절 덕을 우러러볼지어다. 第四節 無極(무극)ㆍ제4절 끝이 없을지어다. ___ 우리…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5-03-10  |  Hit: 189
58.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2훈 '믿음'에 대한 말씀 | 제4장 믿음은 열녀이니라
인간366사(참전계경) 第二訓 信(신) / 제2훈 「믿음」에 대한 말씀  第四章 烈(열) / 제4장 믿음은 열녀이니라. 第一節 賓遇(빈우)ㆍ제1절 손님 대하듯 할지어다. 第二節 育親(육친)ㆍ제2절 어버이를 봉양할지어다. 第三節 嗣孤(사고)ㆍ제3절 대를 잇게 할지어다. 第四節 固貞(고정)ㆍ제4절 정조를 굳게 할지어다. 第…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5-03-07  |  Hit: 197
57.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2훈 '믿음'에 대한 말씀 | 제3장 믿음은 충성이니라
인간366사(참전계경) 第二訓 信(신) / 제2훈 「믿음」에 대한 말씀  第三章 忠(충) / 제3장 믿음은 충성이니라. 第一節 佩政(패정)ㆍ제1절 정치에 마음둘지어다. 第二節 擔重(담중)ㆍ제2절 무거운 것을 맡을지어다. 第三節 榮名(영명)ㆍ제3절 명령을 빛낼지어다. 第四節 安民(안민)ㆍ제4절 백성을 편안하게 할지어다. …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5-02-19  |  Hit: 268
56.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2훈 '믿음'에 대한 말씀 | 제2장 믿음은 약속이니라
인간366사(참전계경) 第二訓 信(신) / 제2훈 「믿음」에 대한 말씀  第二章 約(약) / 제2장 믿음은 약속이니라. 第一節 踐實(천실)ㆍ제1절 실제로 행할지어다. 第二節 知中(지중)ㆍ제2절 알맞게 알아야 할지어다. 第三節 續斷(속단)ㆍ제3절 끊어짐을 이을지어다. 第四節 排忙(배망)ㆍ제4절 바쁨을 물리칠지어다. 第五節 重…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5-02-12  |  Hit: 309
55.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2훈 '믿음'에 대한 말씀 | 제1장 믿음은 올바름이니…
인간366사(참전계경) 第二訓 信(신) / 제2훈 「믿음」에 대한 말씀  第一章 義(의) / 제1장 믿음은 올바름이니라. 第一節 正直(정직)ㆍ제1절 바르고 곧을지어다. 第二節 公廉(공렴)ㆍ제2절 치우치지 않고 깨끗할지어다. 第三節 惜節(석절)ㆍ제3절 절개를 소중히 여길지어다. 第四節 不貳(불이)ㆍ제4절 둘이 아닐지어다. 第五…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5-02-03  |  Hit: 382
54.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1훈 '정성'에 대한 말씀 | 제6장 정성은 지극히 효…
인간366사(참전계경) 第一訓  誠(성) / 제1훈 「정성」에 대한 말씀  第六章  大孝(대효)  제6장 「정성」은 지극히 효도하는 것이니라. 第一節 安忠(안충)ㆍ제1절 마음을 편안하게 할지어다. 第二節 鎖憂(쇄우)ㆍ제2절 근심을 막을지어다. 第三節 順志(순지)ㆍ제3절 뜻을 따를지어다. 第四節 養體(양체)ㆍ제4절 몸을…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5-01-09  |  Hit: 539
53.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1훈 '정성'에 대한 말씀 | 제5장 정성은 지극히 느…
인간366사(참전계경) 第一訓 誠(성) / 제1훈 「정성」에 대한 말씀 第五章 至感(지감) 제5장 「정성」은 지극히 느끼는 것이니라. 第一節 順天(순천)ㆍ제1절 하느님을 따를지어다. 第二節 應天(응천)ㆍ제2절 하느님께 응할지어다. 第三節 聽天(청천)ㆍ제3절 하느님께 들을지어다. 第四節 樂天(낙천)ㆍ제4절 하느님을 즐거워할…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4-12-19  |  Hit: 587
52.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1훈 '정성'에 대한 말씀 | 제4장(不息(불식)) 「정성…
인간366사(참전계경) 第一訓  誠(성) / 제1훈 「정성」에 대한 말씀  第四章  不息(불식)  제4장 「정성」은 쉬지 않는 것이니라. 第一節 勉强(면강)ㆍ제1절 강하게 힘쓸지어다. 第二節 圓轉(원전)ㆍ제2절 둥글게 굴릴지어다. 第三節 休算(휴산)ㆍ제3절 셈하는 것을 쉴지어다. 第四節 失始(실시)ㆍ제4절 시작을 잊어 …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4-11-25  |  Hit: 514
51.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1훈 '정성'에 대한 말씀 | 제3장(不忘(불망))「정성…
인간366사(참전계경) 第一訓  誠(성) / 제1훈 「정성」에 대한 말씀  第三章  不忘(불망) 제3장 「정성」은 잊지 아니하는 것이니라.  第一節  自任(자임) ㆍ 제1절 스스로 맡을 지어다. 第二節  自記(자기) ㆍ 제2절 스스로 기록할 지어다. 第三節  貼膺(첩응) ㆍ 제3절 가슴에 접어둘 지어다. 第四節 …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4-11-16  |  Hit: 554
50.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1훈 '정성'에 대한 말씀 (第一訓 誠(성)) | 제2장 �…
우리가 알고있는 참전계경의 바른 이름 "인간삼백육십육사"의 본 영상에 활용된 내용들은 배달문화연구원 한백대사 송원홍 원장의 저서 “배달전서”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한민족의 3대 경전인 천부경(天符經), 삼일신고(三一神誥)와 함께 “인간366사”는 우리 민족의 중심 철학이고, 오늘날 종교에서 활용하고 있는 가…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4-11-05  |  Hit: 553
49.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1훈 '정성'에 대한 말씀 (第一訓 誠(성)) | 제1장 …
우리가 알고있는 참전계경의 바른 이름 "인간삼백육십육사"의 본 영상에 활용된 내용들은 배달문화연구원 한백대사 송원홍 원장의 저서 “배달전서”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한민족의 3대 경전인 천부경(天符經), 삼일신고(三一神誥)와 함께 “인간366사”는 우리 민족의 중심 철학이고, 오늘날 종교에서 활용하고 있는 가르…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4-10-31  |  Hit: 533
48. 인간366사 제8훈 응함 _ 제6장 「응함」은 작음으로 오는 것이니라.
치화경治化經 인간366사제8훈「응함」에 대한 말씀 / 第八訓 應(응) 단군 한배검님께서 말씀하시기를 「응함」에는 악한 것은 재앙의 갚음을 받고 착한 것은 복의 갚음을 받는 것이니  여섯 가지 결과와 설흔 아홉 가지 형상이 있느니라. 第八訓 應ㆍ응 應者 惡受禍報 善受福報 有六果三十九形. 응자 악수화…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1-02-27  |  Hit: 2712
47. 인간366사 제8훈 응함 _ 제5장 「응함」은 큼으로 오는 것이니라.
치화경治化經 인간366사제8훈「응함」에 대한 말씀 / 第八訓 應(응) 단군 한배검님께서 말씀하시기를 「응함」에는 악한 것은 재앙의 갚음을 받고 착한 것은 복의 갚음을 받는 것이니  여섯 가지 결과와 설흔 아홉 가지 형상이 있느니라. 第八訓 應ㆍ응 應者 惡受禍報 善受福報 有六果三十九形. 응자 악수화…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1-02-27  |  Hit: 2586
46. 인간366사 제8훈 응함 _ 제4장 「응함」은 가득함으로 오는 것이니라.
치화경治化經 인간366사제8훈「응함」에 대한 말씀 / 第八訓 應(응) 단군 한배검님께서 말씀하시기를 「응함」에는 악한 것은 재앙의 갚음을 받고 착한 것은 복의 갚음을 받는 것이니  여섯 가지 결과와 설흔 아홉 가지 형상이 있느니라. 第八訓 應ㆍ응 應者 惡受禍報 善受福報 有六果三十九形. 응자 악수화…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1-02-27  |  Hit: 2552
1 2 3 4



- 맨위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