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일아카데미_삼일학 연구원
삼일학연구원 최근게시글

춘천 중도 선사유적지
[이덕일 역사TV] 세계적인 고조선 유적지에 레고…
[춘천 중도 고조선 유적지의 역사적 고찰] 3. 단…
[춘천 중도 고조선 유적지의 역사적 고찰] 2. 고…
[춘천 중도 고조선 유적지의 역사적 고찰] 1. 춘…
[반크] 레고랜드 플라스틱 장난감에 의해 어이…
정길선의 북방유라시아 유목사 산책
포르투갈의 고인돌 문화 - 카스트로 문화(Castro c…
알타이의 텡그리를 바라보며...
투르크-타타르의 Умай (우마이) 여신에 대하여
페르가나의 지형
고대 중앙아시아 유목민족들의 개념
유범식의 천지자연의 법 조선철학
3. 혁명을 사랑하는 이들을 위하여 [우리의 조선…
3. 혁명을 사랑하는 이들을 위하여
2. 뿌리없는 사상적 흐름을 경계하며
제5장 한국 사회운동 단편 - 1. 노동자운동의 기…
존엄어린 죽음 - 인신공양 / 평화의 땅에서 살육…
팔봉산의 하나민족 이야기
한국인의 하나복본 5
한국인의 하나복본 4
한국인의 하나복본 3
한국인의 하나복본 2
한국인의 하나복본 1
한길 백공종사의 배달학당
白空 한길 종사님의 천부경 강의(73)
한길 백공종사님의 천부경 강의(72)
한길 백공종사님의 천부경 강의(71)
천부경을 빛깔로...天一一 地一二 人一三 (천일…
천부경을 빛깔로...析三極無盡本(석삼극 무진본
화니의 재미있는 桓세상이야기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13] 사람이 바뀌지 않으면…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12] 잘못됨을 알면서도 바…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11] 무엇보다 홍익하는 자…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10] 아무리 지식이 많아도…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9] 애국애족은 쉽지 않다.…
김응렬의 생각없이 읽는 철학
[다석 유영모 명상록_1] 出于天來歸終天
[책속의 한 줄 - 6_2] At the Feet of the Master
[책속의 한 줄 - 6_1] At the Feet of the Master
[돌아보기 - 10] 四無量心 : 네 가지의 무한한 마…
[옛글 공부 - 11] 중용 : 우리 시대에 더욱 필요한…
이강산의 통일을 위한 한민족 역사공부방
가섭원부여기 [복애거사 범장 찬] 시조 해부루
북부여기 [복애거사 범장 찬] 북부여기하 _ 5세 …
북부여기 [복애거사 범장 찬] 북부여기상 _ 3세 …
북부여기 [복애거사 범장 찬] 북부여기상 _ 시조…
단군세기(檀君世紀) 제46세 단군보을 / 제47세 단…
조홍근의 홍익인간 7만년 역사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7대 두밀 …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7대 두밀 …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6대 추로 …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5대 솔나 …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5대 솔나 …
박현우의 가림토한글
한울(○).가를(十)
을미일 왕께서 아뢰시니
고한글 가릶톬
動動歌(동동가)
한 얼을 찾아서. [산해경 해내북경..氷夷(빙이)…
김용성의 태극한글 "신획"
[미치다]의 어원은 [밑+치다]입니다. (2)
마츄픽츄는 원주민 언어로 오래된 이라는 뜻
치우천황은 누구인가? 치우기록들!
시애틀에 대한 어원 고찰
우리말로 읽어야 뜻을 아는 영어
천부경, 삼일신고를 논하다
[참한역사신문] 마고천부경(麻姑天符經) 해독 … (3)
[참한역사신문] 천부경의 내력
[참한역사신문] 묘향산 석벽본 천부경(天符經) …
[참한역사신문] 부도지와 천부…
[조홍근의 천부역사태학원] 하늘, 하늘님이란 - …
치화경治化經 인간366사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6훈 '행복'에 대…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5훈 '재앙'에 대…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5훈 '재앙'에 대…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5훈 '재앙'에 대…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5훈 '재앙'에 대…
성미경의 삼일사랑방
2022 배달문화원 애국가 - 독립군가
[KBS 다큐] 대장경에 담긴 '천년의 진리' -…
[배달문화원 개천이야기9-02] 3·1독립선언서(三…
[배달문화원 개천이야기9-01] 대한독립선언서(大…
[배달문화원 개천이야기 9] 대한독립선언서와 3…

aljago_20110527_01.jpg 치화경治化經 인간삼백육십육사
TOTAL 76
바른 이름 인간삼백육십육사(人間三百六十六事)에 대하여...(2)
⑶ 환단고기 범례(凡例)" 一. 고기(古記)의 인용은 일연(一然)씨의 유사(遺事=삼국유사)에서 시작하였으나 고기를 얻어 볼 수 없으므로 삼성기, 단군세기, 북부여기, 태백일사를 합하여하나의 책으로 만들고 이름을 환단고기(桓檀古記)라 하였다.또 〈천부경〉과 〈삼일신고〉 두 개 글의 전문이 다 들어 있으니, 실로 낭가의대학이나 중…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17-08-07  |  Hit: 3078
바른 이름 인간삼백육십육사(人間三百六十六事)에 대하여...(1)
바른 이름(正名) 인간삼백육십육사(人間三百六十六事)최 동 원 ( 천부보전 대표 천부경강전 저자 ) Ⅰ. 서 론 천부경(天符經)을 시원(始源)으로 하는 환인족(桓人族)의 역사에서 우리 겨레는 숭고한 경전의 가르침을 통하여 찬란한 문화의 꽃을 피워 왔는데 어느 때부터인가 단군조선국의 역사에 대하여 왜곡이 심한 것을 알았…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17-08-07  |  Hit: 3187
76.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6훈 '행복'에 대한 말씀 | 제1장 '복'은 어질…
인간366사(참전계경) 第六訓 福(복) / 제6훈 '행복'에 대한 말씀   第一章 仁(인) / 제1장 '복'은 어질어야 받는 것이니라. 第一節 愛人(애인)ㆍ제1절 사람을 사랑할지어다. 第二節 護物(호물)ㆍ제2절 물건을 보호할지어다. 第三節 替惻(체측)ㆍ제3절 측은함을 대신할지어다. 第四節 喜救(희…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5-05-18  |  Hit: 1
75.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5훈 '재앙'에 대한 말씀 | 제6장 '재앙'은 거…
인간366사(참전계경) 第五訓 禍(화)  / 제5훈 '재앙'에 대한 말씀    第六章 逆(역) / 제6장 '재앙'은 거스리므로 받는 것이니라. 第一節 褻神(설신)ㆍ제1절 하느님을 더럽히지 말지어다. 第二節 瀆禮(독례)ㆍ제2절 예절을 모독하지 말지어다. 第三節 敗理(패리)ㆍ제3절 이치를 무너뜨리…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5-05-14  |  Hit: 89
74.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5훈 '재앙'에 대한 말씀 | 제5장 '재앙'은 몰…
인간366사(참전계경) 第五訓 禍(화)  / 제5훈 '재앙'에 대한 말씀    第五章 陰(음) / 제5장 '재앙'은 몰래하므로 받는 것이니라. 第一節 黑箭(흑전)ㆍ제1절 어둠에서 화살을 쏘지 말지어다. 第二節 鬼焰(귀염)ㆍ제2절 귀신의 불꽃 놀음을 하지 말지어다. 第三節 妬賢(투현)ㆍ제3절 어짊…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5-05-11  |  Hit: 103
73.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5훈 '재앙'에 대한 말씀 | 제4장 '재앙'은 상…
인간366사(참전계경) 第五訓 禍(화)  / 제5훈 '재앙'에 대한 말씀    第四章 傷(상) / 제4장 '재앙'은 상처를 냄으로 받는 것이니라. 第一節 凶器(흉기)ㆍ제1절 흉기를 쓰지 말지어다. 第二節 鴆毒(짐독)ㆍ제2절 짐새의 독을 쓰지 말지어다. 第三節 奸計(간계)ㆍ제3절 간사한 꾀를 쓰지 말…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5-05-08  |  Hit: 131
72.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5훈 '재앙'에 대한 말씀 | 제3장 '재앙'은 음…
인간366사(참전계경) 第五訓 禍(화)  / 제5훈 '재앙'에 대한 말씀    第三章 淫(음) / 제3장 '재앙'은 음탕함으로 받는 것이니라. 第一節 荒邪(황사)ㆍ제1절 거칠고 사특하지 말지어다. 第二節 戕主(장주)ㆍ제2절 주인을 상하게 하지 말지어다. 第三節 藏子(장자)ㆍ제3절 자식을 숨기지 말지…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5-05-02  |  Hit: 179
71.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5훈 '재앙'에 대한 말씀 | 제2장 '재앙'은 빼…
인간366사(참전계경) 第五訓 禍(화)  / 제5훈 '재앙'에 대한 말씀    第二章 奪(탈) / 제2장 '재앙'은 빼앗음으로 받는 것이니라. 第一節 滅産(멸산)ㆍ제1절 산업을 망하게 하지 말지어다. 第二節 易祀(역사)ㆍ제2절 제사를 바꿔 놓지 말지어다.  第三節 擄金(노금)ㆍ제3절 돈을 노략질하…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5-04-29  |  Hit: 213
70.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5훈 '재앙'에 대한 말씀 | 제1장 '재앙'은 속…
인간366사(참전계경) 第五訓 禍(화)  / 제5훈 '재앙'에 대한 말씀    第一章 欺(기) / 제1장 '재앙'은 속이므로 받는 것이니라. 第一節 匿心(익심)ㆍ제1절 마음을 감추지 말지어다. 第二節 慢天(만천)ㆍ제2절 하느님께 방종하지 말지어다. 第三節 信獨(신독)ㆍ제3절 홀로 믿지 말지어다. 第四…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5-04-28  |  Hit: 174
69.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4훈 '구제'에 대한 말씀 | 제4장 '구제'는 지…
인간366사(참전계경) 第四訓 濟(제)  / 제4훈 「구제」에 대한 말씀   第四章 智(지) / 제4장 '구제'는 지혜로써 하는 것이니라. 第一節 設備(설비)ㆍ제1절 베풀고 준비할 지어다. 第二節 禁癖(금벽)ㆍ제2절 나쁜 버릇을 금할 지어다. 第三節 要儉(요검)ㆍ제3절 검소해야 할 지어다. 第四節 精食(정…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5-04-27  |  Hit: 166
68.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4훈 '구제'에 대한 말씀 | 제3장 '구제'는 순…
인간366사(참전계경) 第四訓 濟(제)  / 제4훈 「구제」에 대한 말씀   第三章 序(서) / 제3장 '구제'는 순서에 맞게 하는 것이니라. 第一節 先遠(선원)ㆍ제1절 먼데를 먼저 할지어다. 第二節 首濱(수빈)ㆍ제2절 제일 위급한 것부터 할지어다. 第三節 輕重(경중)ㆍ제3절 가볍고 무거운 것이 있을지어…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5-04-20  |  Hit: 184
67.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4훈 '구제'에 대한 말씀 | 제2장 '구제'는 땅…
인간366사(참전계경) 第四訓 濟(제)  / 제4훈 「구제」에 대한 말씀   第二章 地(지) / 제2장 '구제'는 땅에 맞게 하는 것이니라. 第一節 撫柔(무유)ㆍ제1절 만져서 부드럽게 할지어다. 第二節 解剛(해강)ㆍ제2절 굳은 것을 풀지어다. 第三節 肥甘(비감)ㆍ제3절 기름지고 달게 할지어다. 第四節 燥濕(…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5-04-15  |  Hit: 253
66.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4훈 '구제'에 대한 말씀 | 제1장 구제는 때에 맞게 …
인간366사(참전계경) 第四訓 濟(제)  / 제4훈 「구제」에 대한 말씀   第一章 時(시) / 제1장 '구제'는 때에 맞게 하는 것이니라. 第一節 農災(농재)ㆍ제1절 농사에 재앙을 막을지어다. 第二節 凉怪(양괴)ㆍ제2절 써늘하고 괴이한 것을 막을지어다. 第三節 熱染(열염)ㆍ제3절 더위 먹는 것을 막을지어다…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5-04-08  |  Hit: 265
65.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3훈 '사랑'에 대한 말씀 | 제6장 사랑은 기다리는 …
인간366사(참전계경) 第三訓 愛(애)  / 제3훈 「사랑」에 대한 말씀  第六章 待(대) / 제6장 사랑은 기다리는 것이니라. 第一節 未形(미형)ㆍ제1절 모습이 아닐지어다. 第二節 生芽(생아)ㆍ제2절 싹이 나야 할지어다. 第三節 寬遂(관수)ㆍ제3절 너그럽게 이룩할지어다. 第四節 穩養(온양)ㆍ제4절 편하게 기를…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5-04-06  |  Hit: 348
64.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3훈 '사랑'에 대한 말씀 | 제5장 사랑은 가르치는 …
인간366사(참전계경) 第三訓 愛(애)  / 제3훈 「사랑」에 대한 말씀  第五章 敎(교) / 제5장 사랑은 가르치는 것이니라. 第一節 顧賦(고부)ㆍ제1절 타고난 바를 돌아볼지어다. 第二節 養性(양성)ㆍ제2절 성품을 기를지어다. 第三節 修身(수신)ㆍ제3절 몸을 닦을 지어다. 第四節 湊倫(주륜)ㆍ제4절 윤리에 합할…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5-04-03  |  Hit: 376
63.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3훈 '사랑'에 대한 말씀 | 제4장 사랑은 기르는 것…
인간366사(참전계경) 第三訓 愛(애)  / 제3훈 「사랑」에 대한 말씀  第四章 育(육) / 제4장 사랑은 기르는 것이니라. 第一節 導業(도업)ㆍ제1절 생업을 인도할지어다. 第二節 保産(보산)ㆍ제2절 산업을 보전할지어다. 第三節 奬勤(장근)ㆍ제3절 부지런함을 권할지어다. 第四節 警墮(경타)ㆍ제4절 뒤떨어짐을 …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5-04-02  |  Hit: 364
62.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3훈 '사랑'에 대한 말씀 | 제3장 사랑은 베푸는 것…
인간366사(참전계경) 第三訓 愛(애)  / 제3훈 「사랑」에 대한 말씀  第三章 施(시) / 제3장 사랑은 베푸는 것이니라. 第一節 原喜(원희)ㆍ제1절 기쁨의 근원일지어다. 第二節 認懇(인간)ㆍ제2절 알아서 정성껏 할지어다. 第三節 矜發(긍발)ㆍ제3절 불쌍히 여길지어다. 第四節 公頒(공반)ㆍ제4절 공평하게 나눌지…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5-03-31  |  Hit: 336
61.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3훈 '사랑'에 대한 말씀 | 2장 사랑은 용납하는 것…
인간366사(참전계경) 第三訓 愛(애)  / 제3훈 「사랑」에 대한 말씀  第二章 容(용) / 제2장 사랑은 용납하는 것이니라. 第一節 固然(고연)ㆍ제1절 자연히 굳을 지어다. 第二節 情外(정외)ㆍ제2절 진정이 아닐지어다. 第三節 免故(면고)ㆍ제3절 일부러함을 피할지어다. 第四節 全昧(전매)ㆍ제4절 어두움에서 벗어…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5-03-27  |  Hit: 361
60.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3훈 '사랑'에 대한 말씀 | 제1장 사랑은 용서하는 …
인간366사(참전계경) 第三訓 愛(애)  / 제3훈 「사랑」에 대한 말씀  第一章 恕(서) / 제1장 사랑은 용서하는 것이니라. 第一節 幼我(유아)ㆍ제1절 내 몸같이 할지어다. 第二節 似是(사시)ㆍ제2절 옳은 것같이 할지어다. 第三節 旣誤(기오)ㆍ제3절 이미 그릇될 수도 있을지어다. 第四節 將失(장실)ㆍ제4절 문득 …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5-03-18  |  Hit: 271
59.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2훈 '믿음'에 대한 말씀 | 제5장 믿음은 도는 것이…
인간366사(참전계경) 第二訓 信(신) / 제2훈 「믿음」에 대한 말씀  第五章 循(순) / 제5장 믿음은 도는 것이니라. 第一節 四時(사시)ㆍ제1절 네 계절이 있을지어다. 第二節 日月(일월)ㆍ제2절 해와 달이 있을지어다. 第三節 德望(덕망)ㆍ제3절 덕을 우러러볼지어다. 第四節 無極(무극)ㆍ제4절 끝이 없을지어다. ___ 우리…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5-03-10  |  Hit: 294
58.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2훈 '믿음'에 대한 말씀 | 제4장 믿음은 열녀이니라
인간366사(참전계경) 第二訓 信(신) / 제2훈 「믿음」에 대한 말씀  第四章 烈(열) / 제4장 믿음은 열녀이니라. 第一節 賓遇(빈우)ㆍ제1절 손님 대하듯 할지어다. 第二節 育親(육친)ㆍ제2절 어버이를 봉양할지어다. 第三節 嗣孤(사고)ㆍ제3절 대를 잇게 할지어다. 第四節 固貞(고정)ㆍ제4절 정조를 굳게 할지어다. 第…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5-03-07  |  Hit: 296
1 2 3 4



- 맨위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