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일아카데미_삼일학 연구원
삼일학연구원 최근게시글

춘천 중도 선사유적지
[이덕일 역사TV] 세계적인 고조선 유적지에 레고…
[춘천 중도 고조선 유적지의 역사적 고찰] 3. 단…
[춘천 중도 고조선 유적지의 역사적 고찰] 2. 고…
[춘천 중도 고조선 유적지의 역사적 고찰] 1. 춘…
[반크] 레고랜드 플라스틱 장난감에 의해 어이…
정길선의 북방유라시아 유목사 산책
포르투갈의 고인돌 문화 - 카스트로 문화(Castro c…
알타이의 텡그리를 바라보며...
투르크-타타르의 Умай (우마이) 여신에 대하여
페르가나의 지형
고대 중앙아시아 유목민족들의 개념
유범식의 천지자연의 법 조선철학
3. 혁명을 사랑하는 이들을 위하여 [우리의 조선…
3. 혁명을 사랑하는 이들을 위하여
2. 뿌리없는 사상적 흐름을 경계하며
제5장 한국 사회운동 단편 - 1. 노동자운동의 기…
존엄어린 죽음 - 인신공양 / 평화의 땅에서 살육…
팔봉산의 하나민족 이야기
한국인의 하나복본 5
한국인의 하나복본 4
한국인의 하나복본 3
한국인의 하나복본 2
한국인의 하나복본 1
한길 백공종사의 배달학당
白空 한길 종사님의 천부경 강의(73)
한길 백공종사님의 천부경 강의(72)
한길 백공종사님의 천부경 강의(71)
천부경을 빛깔로...天一一 地一二 人一三 (천일…
천부경을 빛깔로...析三極無盡本(석삼극 무진본
화니의 재미있는 桓세상이야기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13] 사람이 바뀌지 않으면…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12] 잘못됨을 알면서도 바…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11] 무엇보다 홍익하는 자…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10] 아무리 지식이 많아도…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9] 애국애족은 쉽지 않다.…
김응렬의 생각없이 읽는 철학
[돌아보기 - 12] 見道와 修道, 깨달았다고 끝이 …
[돌아보기 - 11] 창세기 2장 4절, 두 개의 창조이…
[동영상 - 1] 인간은 동물로 재생(再生)하지 않는…
[책속의 한 줄 - 7] 장일순 평전, 무위당의 아름…
[다석 유영모 명상록_1] 出于天來歸終天
이강산의 통일을 위한 한민족 역사공부방
가섭원부여기 [복애거사 범장 찬] 시조 해부루
북부여기 [복애거사 범장 찬] 북부여기하 _ 5세 …
북부여기 [복애거사 범장 찬] 북부여기상 _ 3세 …
북부여기 [복애거사 범장 찬] 북부여기상 _ 시조…
단군세기(檀君世紀) 제46세 단군보을 / 제47세 단…
조홍근의 홍익인간 7만년 역사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7대 두밀 …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7대 두밀 …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6대 추로 …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5대 솔나 …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5대 솔나 …
박현우의 가림토한글
한울(○).가를(十)
을미일 왕께서 아뢰시니
고한글 가릶톬
動動歌(동동가)
한 얼을 찾아서. [산해경 해내북경..氷夷(빙이)…
김용성의 태극한글 "신획"
[미치다]의 어원은 [밑+치다]입니다. (2)
마츄픽츄는 원주민 언어로 오래된 이라는 뜻
치우천황은 누구인가? 치우기록들!
시애틀에 대한 어원 고찰
우리말로 읽어야 뜻을 아는 영어
천부경, 삼일신고를 논하다
[참한역사신문] 마고천부경(麻姑天符經) 해독 … (3)
[참한역사신문] 천부경의 내력
[참한역사신문] 묘향산 석벽본 천부경(天符經) …
[참한역사신문] 부도지와 천부…
[조홍근의 천부역사태학원] 하늘, 하늘님이란 - …
치화경治化經 인간366사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8훈 '응함'에 대…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8훈 '응함'에 대…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8훈 '응함'에 대…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8훈 '응함'에 대…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7훈 '갚음'에 대…
성미경의 삼일사랑방
2022 배달문화원 애국가 - 독립군가
[KBS 다큐] 대장경에 담긴 '천년의 진리' -…
[배달문화원 개천이야기9-02] 3·1독립선언서(三…
[배달문화원 개천이야기9-01] 대한독립선언서(大…
[배달문화원 개천이야기 9] 대한독립선언서와 3…

kur.jpg 김응렬  생각없이 읽는 철학
 
  [5편-2] 성령, 악령, 천사의 정체... 인류 앎의 성장역사
  
   작성자 : 김응렬
작성일 : 2018-01-31     조회 : 689  

(3) 성령에 대한 분석

성령도 인간영이에요.

사도행전 829절에 보면

"성령이 필립보에게 "가서 저 마차에 바싹 다가서 보아라." 말씀하셨다고 하였고

로마서 815~16절에도

"성령은 여러분을 하느님의 자녀로 만들어 주시는 분입니다.

우리는 그 성령에 힘입어 하느님을 아빠, 아버지라고 부릅니다." 라고 했으며,

로마서 826~27절에도

"성령께서도 연약한 우리를 도와주십니다.

어떻게 기도해야 할지도 모르는 우리를 대신해서 말로 다 할 수 없을만큼

깊이 탄식하시며 하느님께 간구해 주십니다.

이렇게 성령께서는 하느님의 뜻에 따라 성도들을 대신해서 간구해 주십니다.

27:그리고 마음속까지도 꿰뚫어 보시는 하느님께서는<"그러한 성령의 생각을 잘 아십니다">."

라고 했지요.

27절의 마지막 구절은 성령이 하느님 자체가 아니고 하느님을 위하여 활동하는 개체영임을 확실히 밝힌 것입니다.

그 외에도 요한 1615절을 보면, 예수도

"성령께서 내게 들은 것을 너희에게 알려주시리라."고 하여

성령이 예수의 진리를 듣고 배운 인간영임을 밝혔지요.

 

 (4) 구약의 천사가 신약엔 성령으로

구약시대는 외적규제 시대이므로 인간들에게 외적으로 직접 보이는 천사로 나타났지만

신약시대는 내적 심령으로 이끌어 가는 믿음의 시대이기에

구약때 눈에 직접 보이게 나타나 활동하던 천사가 신약때는 보이지않게 내적 성령으로 활동하는 것이지요.

마태오 1228, 사도행정 1038절에 보면 예수도

"나는 하느님께서 보내신 성령의 힘으로 마귀를 쫓아내고 있다."라고

말씀하셨다는 내용이 있습니다.

예수 당시는 구,신약의 분기점이므로 천사와 성령으로 그때그때 상대의 수준에 따라 보여주기도 했어요.

사도행전 1112~13절에 보면

베드로는 자기에게 협조하는 영을 성령이라 했고,

가이사랴에서 베드로를 찾아온 사람은 자기에게 천사가 왔었다고 했어요.

이 외에도 사도행전 24, 26~12, 1045~46, 고린도전서 142~25절을 보면

"성령이 내려 여러가지 외국어(17개국 이상)로 말했다."고 하며,

"모인 사람들 중엔 그 말을 알아듣는 사람이 있어 통역도 했다."고 했어요.

이것은 인류가 생긴 이래,

세계 곳곳에서 승화되어 천사가 되었다가 신약진리 시대가 되어 성령으로 협조하는 천사들이,

인간의 육체에 작용할 땐 어쩔 수 없이 자기가 살았을 때에 했던 말을 하게 되는 현상으로,

현대에도 '방언이 내렸다'고 하지요.

저승은 뜻과 뜻의 대화이지만, 일단 육신의 입으로 터지면 별 수 없이 자기가 아는 말로 나오는 거에요.

불교계에도 선한 영은 무수히 많고, 방언, 치료, 예언 등이 있는데 이것 역시 불교를 믿던 개체영의 협조입니다.

 (5) 성령(聖靈)과 성신(聖神)의 차이

성령과 성신은 차이가 있어요.

성신은 하느님의 31체중 하나인 기록(記錄=)기능이고,

성령은 성신의 흐름(하느님의 뜻)에 따라 움직이는 인간영이에요.

그러나 구약인들이 때론 하느님과 천사를 동일시하여 표현한 것처럼,

현 기독교계 역시 성신의 흐름에 따라 성령이 움직이므로

흔히 성신과 성령을 동일시(同一視)하여 표현하기도 하지요.

이처럼 성령을 하느님과 완전 동일시함으로써

성령 활동이 야기시키는 샤머니즘적 기복사상과 그 완전성의 결여 때문에

"성서적이다, 아니다"로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지요.

그 대표적인 예가 모 교회의 모 목사와 기독교계의 논쟁이였어요.

모 교회 목사의 반론이예요

"성령의 역사는 특별한 신앙운동 이라기보다 기독교 신앙 자체다.

개인 뿐만 아니라 교회도 성령을 떠나서는 존재할 수 없다.

(중략)..초대 교회의 시작과 발전은 성령의 도움 없이는 불가능했음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중략) 물론 성령을 체험한 신자나 교회가 윤리적으로나 도덕적으로 부족할 수도 있다.

(중략) 고린도교회의 실수가 있다고 해서 역사하신 성령이 샤머니즘이나 마귀라고 점지할 수는 없는 것이다.

(중략)

(1982122. 한국일보)

, 이런 기사도 있었지요.

"문제는 오늘의 일부 성령운동이 올바른 성서적 이해를 결여한 샤머니즘으로

경고받는 데까지 이르고 있다는 점이다.

모 교수는 "성령운동을 통한 기독교 신앙이 방언, 치병, 예언 등의 신비적 종교현상과 동일시 될 때,

한국의 무당들이 하는 일과 비슷한 일을 하는 일종의 신당이 되고 만다."고 우려했다.

고린도교회의 개척자 사도바울도 "방언하는 자는 정신이상자로 간주되기 쉽다."고 경계하기도 했다."

(1982622. 중앙일보. 한국 종교의 현 주소)

이와 같은 논쟁은 성령운동이 샤머니즘적 기복사상과 흡사하고 실수도 있는 등,

하느님과 같은 완전성이 결어되어 있기 때문이지요.

이것은 성령이 완전하신 하느님 자체가 아니라, 하느님의 뜻에 따라 활동하는 인간영이고,

그 결과 앎과 능력의 한계가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TOTAL 95
32. [5편-2] 성령, 악령, 천사의 정체... 인류 앎의 성장역사
(3) 성령에 대한 분석 성령도 인간영이에요. 사도행전 8장29절에 보면 "성령이 필립보에게 "가서 저 마차에 바싹 다가서 보아라." 말씀하셨다고 하였고 로마서 8장15절~16절에도 "성령은 여러분을 하느님의 자녀로 만들어 주시는 분입니다. 우리는 그 성령에 힘입어 하느님을 아빠, 아버지라고 부릅니다." 라고 했으며, 로마서 8장2…
Name: 김응렬  |  Date: 2018-01-31  |  Hit: 690
31. [5편-1] 성령, 악령, 천사의 정체.. 인류 앎의 성장역사
시리즈 5편은, 성서에 기록된 천사, 성령, 악령 등에 관한 분석과 각각의 차이점 및 역할, 또한 악령의 구원이 가능한 이유와 방법 및 창세기의 의미 분석, 더불어 중앙아시아에서 시작된 세계의 모든 종교가 핵심(核心)사상은 모두 삼위일체(3位1體)라는 것과 성서에 나오는 십일조, 3 ,4, 12 ,40, 70, 144000 등 자주 등장하는 숫자에 대한 …
Name: 김응렬  |  Date: 2018-01-04  |  Hit: 690
30. [옛글 공부 - 3] 東洋의 노블레스 오블리주 (2)
  富而好禮者也 부이호례자야부와 명예, 그리고 그에 걸맞는 높은 사회적 지위와 명예는 그에 상응하는 도덕적 의무가 따르게 됩니다.1808년 프랑스에서 처음 사용된 용어,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전통은 서구사회 깊숙이 스며들어 개인중심주의의 한계를 보완하고 사회의 共同善을 이룩하는…
Name: 김응렬  |  Date: 2017-12-11  |  Hit: 675
29. [4편-4] 사후세계는 어떻게 생겼을까 ?
(13) 지복에 이르는 두 가지 원인      첫째원인 : 피조물인 인간이 창조주인 하느님에게 무한의 복종과 인내를 보여드림으로써, 창조주 하느님과 피조물인 인간의 관계를 행동으로 실천(전체의식의 삶)하며 인정하는 거예요.   무한도 두 가지가 있으니, 1.처한 여건에서 최선을 다하는 동(動)적인…
Name: 김응렬  |  Date: 2017-11-28  |  Hit: 621
28. [4편-3] 사후세계는 어떻게 생겼을까 ?
(10) 인간 노력수 9수의 영적 진화 단계   인간의식의 영적진화 단계는 크게 9가지 단계로 나뉘어집니다. 이것은 인간이 개체인습과 개체목적을 버리고 전체의식으로 승화되는 과정의 노력수 9 (3의 완전수, 3x3=9)를 상징하는 것이고, 여기에 하느님의 섭리수가 1 이어서(창세기 14장20절, 레위기 27장30~32절, 신명기…
Name: 김응렬  |  Date: 2017-11-16  |  Hit: 701
27. [4편-2] 사후세계는 어떻게 생겼을까 ?
(6) 모든 영의 앞에서 느껴지는 영계의 태양 통짜구성인 영계에 가면 핵인 하느님은 태양으로 느껴져요. 자연계의 태양은 바로 영계 태양의 표상이거든요. 이 영계의 태양은 어느 영에게든 항상 앞쪽에서 느껴져요. 즉, 영 넷이 사방으로 등을 대고 서면, 각자의 앞에 태양이 있게 돼요. 꽉! 찬 충만한 존재의 영계핵을 느끼는…
Name: 김응렬  |  Date: 2017-10-31  |  Hit: 559
26. [4편-1] 사후세계는 어떻게 생겼을까 ?.... (2)
시리즈 4편은, 사후의 세계에 대한 전반적 해명입니다. 저승에서의 영적 진화는 어떻게 진척 되고 우리는 그곳에서 어떻게 지내며, 하느님과의 관계, 삶의 의미는 어떻게 되는지 등의 물음에 대한 해답이지요.   사실 사람들이 천국이라고 하면 그저 막연히 ’좋은 곳’이라고만 생각하지, 구체적으로 왜, 어떻게 …
Name: 김응렬  |  Date: 2017-10-24  |  Hit: 627
25. [돌아보기 1] 화가 나는 이유와 원칙의 흐름 (5)
가정생활이든, 직장생활이든 우리가 인생살면서 화가 나는 이유는,   어떤 상황이 나의 개체목적과 맞지 않거나 상대방이 正常(0,zero)에서 지나친 언행을 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화를 내는 존재는 제나(몸나 + 맘나)이지 얼나(영혼)가 아닙니다.   좀더 정확하게 표현하면, "개체아"가 …
Name: 김응렬  |  Date: 2017-10-13  |  Hit: 671
24. [옛글공부 - 2] 以直報怨 以德報德 ... 全體意識의 삶이란 ?
[옛글공부 2] 全體意識의 삶이란 무엇인가 ?   以直報怨, 以德報德 이직보원 이덕보덕     나의 본심이 무시되고, 나의 진실과 정직이 상대방에 의해 부당하게 역이용 당할 때 여러분은 어떻게 행동하시겠습니까 ?   끊임없이 이…
Name: 김응렬  |  Date: 2017-10-11  |  Hit: 563
23. [3편-8] 하느님은 어떻게 생겼을까 ?
(5) 같은 질(비슷한) 만큼 일어나는 기능   어떤 기계가 있을 때, 움직이는 데에 필요한 각 부속은 그 구조가 있고, 그 구조가 필요한 만큼은 비슷해야 그 만큼 기계의 움직임이 일어나게 되지요. 기계가 복잡하고 정밀하면, 부속 역시 복잡 정밀해야 돼요. 이것을 본다면 인간의 호르몬(정자, 난자)과 고릴라의 호…
Name: 김응렬  |  Date: 2017-09-27  |  Hit: 580
22. [3편-7] 하느님은 어떻게 생겼을까 ?
3. 골치 아프면 잠깐 쉬어 갈까요 ? (1) 자율기능이 있는 모든 존재   인체 세포의 느낌이 세포핵, 신경을 거쳐 두뇌에 전해질 때, 신경은 세포핵으로부터의 느낌에 대해 자율반응이 있고, 이것은 두뇌의 반응목적과 똑같아야 되지요. 이 자율성은 세포핵, 세포, 모든 쿼크들도 나름대로 모두 갖고 있어요. …
Name: 김응렬  |  Date: 2017-09-27  |  Hit: 457
21. [3편-6] 하느님은 어떻게 생겼을까 ?
(16) 완전한 원칙에 의해 흐르는 우주의 모든 흐름   인간이 살아가며 느껴진 느낌이 앎으로 성장하면, 그 앎은 개개인 나름대로 어떤 질량 형상을 순간마다 갖추게 되지요. 이때 다른 누군가와 나의 앎 차이를 돌과 진흙 덩어리에 비유했을 때, 만약 그 돌과 진흙에 똑같은 힘으로 어떤 물체가 와서 부딪힌다고 …
Name: 김응렬  |  Date: 2017-09-27  |  Hit: 501
20. [3편-5] 하느님은 어떻게 생겼을까 ?
(13) 물리학의 기본입자인 쿼크와 인간사회의 비교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일본의 ’유가와’ 박사가, 쿼크로 이루어진 양성자, 중성자, 전자를 소령력(素領力)이라는 이론으로 통일해보니, 이 우주는 쿼크가 들어가 활동하는 양성자, 중성자, 전자의 수많은 소령력 집단체’라고 하며, 쿼크와 소령력의 관계…
Name: 김응렬  |  Date: 2017-09-27  |  Hit: 542
19. [3편-4] 하느님은 어떻게 생겼을까 ?
(8) 원칙의 순서에 의해 탄생하는 생명체   앞에서 움직임의 원칙 2의 첫째, 둘째, 셋째를 설명할 때 각 쿼크가 분자까지 구성하는 과정은 설명이 되었으니 알았지요 ? 그 분자가 움직임의 원칙 1에 의해 또 다시 뭉치게 되니, 이것이 바로 물질이예요. 그런데..... 이렇게 분자가 이루어질 때, 어쩌다 보면 쿼크…
Name: 김응렬  |  Date: 2017-09-26  |  Hit: 527
18. [3편-3] 하느님은 어떻게 생겼을까 ?
(4) 성서에서 밝힌 우주의 원칙   그럼 성서에서는 이 원칙을 어떻게 설명했는지 알아 볼까요? 요한복음 1장1절~3절에 보면 "태초에 말씀이 계시니라. 이 말씀이 하느님과 함께 계셨으니 이 말씀은 곧 하느님이시라. 그가 태초에 하느님과 같이 계셨고 만물이 그로 말미암아 지은 바 되었으니 지은 것이 하나도 그가 …
Name: 김응렬  |  Date: 2017-09-26  |  Hit: 518
17. [3편-2] 하느님은 어떻게 생겼을까 ?
2. 이승과 저승의 얼개 (1) 4수로 이루어진 우주   원래부터 시작과 끝이 없는 이 우주는 같은 질이지만 1. 개체 쿼크들로 이루어진 유형의 자연계가 있고 2. 자연계와 같이 개체로 이루어졌지만 무형인 마음계가 있고 3. 마음계와 같이 무형이지만 개체가 모인 것이 아닌, 통짜(전체구성)로 이루어진 영계가 있…
Name: 김응렬  |  Date: 2017-09-26  |  Hit: 510
16. [3편-1] 하느님은 어떻게 생겼을까 ?
  시리즈 3편은, 인간완성 시리즈의 가장 핵심적인 내용으로써, 전체성과 개체성에 대한 개념을 우선 이해하셔야 합니다. 즉, 영계(靈界)의 핵(核)이며 유일(唯一)의 전체성(全體性) 영(靈)이신 하느님께서는 어떻게 존재하시며 상대적(相對的) 개체성(個體性) 영(靈)인 인간은 왜 생겨났는가?, 그리고 개체영인 인간과 전…
Name: 김응렬  |  Date: 2017-09-26  |  Hit: 554
15. [2편-5] 성경으로 본 역사의 의미
(5).영계 느낌의 표상인 자연계의 모든 느낌 다시 말해, 자연계에서 부모 자식간의 감정이나 이성간의 감정은 하느님과 인간과의 관계감정이 자연계의 표상으로 나타난 거에요. 그러니 하느님은 인간을 얼마나 끔찍하게 사랑하시겠어요? 이번 시리즈는 너무 길죠? 한번만 읽지 말고 여러번 이해가 될 때까지 보셔야 하는데....…
Name: 김응렬  |  Date: 2017-06-19  |  Hit: 535
14. [2편-4] 성경으로 본 역사의 의미
알고 나면 간단해요. 그리고 굉장히 신비해요. 하느님은 느끼기 위하여 자신의 몸(우주)에서 우리 개체 인간을 만들어 느끼시니 말이에요. 그래서 성서에 보면 하느님은 우리 인간의 머리카락 하나도 다 헤아리신다고 했나봐요. 사실이니까요.   3. 창조주인 하느님과 피조물인 인간과의 관계정립 …
Name: 김응렬  |  Date: 2017-06-19  |  Hit: 568
13. [2편-3] 성경으로 본 역사의 의미
그래서 2000년 전에는"원수를 사랑하라! 예수를 믿으시오!"하면 충격적이었으나 지금은 사람들에게 그때와 같은 감흥을 줄 수가 없는 거에요. 물론 예수의 진리도 2000년간 사람들이 실생활에서 실천하여 왔으니 이해,양보의 진리, 앎 자체는 실체적으로 성장하였지요. 즉, 정리하자면, 야곱부터 예수까지 과정은 꼭 갚는 식…
Name: 김응렬  |  Date: 2017-06-19  |  Hit: 523
12. [2편-2] 성경으로 본 역사의 의미
(4) 구약과 신약, 자아자립과 다음시대 준비의 동질성 한편,구약의 이스라엘과 유다민족은 포로로 끌려가 갖은 고생을 하다가 페르샤 키로스 2세의 민족 해방령으로 다시 옛 고국으로 돌아오게 되었고 하느님사상도 다시 찾게 되었대요. 그러나 고국에 돌아온 유다인들은 진정 하느님이 계시다면 하느님께 선택된 민족…
Name: 김응렬  |  Date: 2017-06-19  |  Hit: 534
1 2 3 4 5



- 맨위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