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일아카데미_삼일학 연구원
삼일학연구원 최근게시글

춘천 중도 선사유적지
[이덕일 역사TV] 세계적인 고조선 유적지에 레고…
[춘천 중도 고조선 유적지의 역사적 고찰] 3. 단…
[춘천 중도 고조선 유적지의 역사적 고찰] 2. 고…
[춘천 중도 고조선 유적지의 역사적 고찰] 1. 춘…
[반크] 레고랜드 플라스틱 장난감에 의해 어이…
정길선의 북방유라시아 유목사 산책
포르투갈의 고인돌 문화 - 카스트로 문화(Castro c…
알타이의 텡그리를 바라보며...
투르크-타타르의 Умай (우마이) 여신에 대하여
페르가나의 지형
고대 중앙아시아 유목민족들의 개념
유범식의 천지자연의 법 조선철학
3. 혁명을 사랑하는 이들을 위하여 [우리의 조선…
3. 혁명을 사랑하는 이들을 위하여
2. 뿌리없는 사상적 흐름을 경계하며
제5장 한국 사회운동 단편 - 1. 노동자운동의 기…
존엄어린 죽음 - 인신공양 / 평화의 땅에서 살육…
팔봉산의 하나민족 이야기
한국인의 하나복본 5
한국인의 하나복본 4
한국인의 하나복본 3
한국인의 하나복본 2
한국인의 하나복본 1
한길 백공종사의 배달학당
白空 한길 종사님의 천부경 강의(73)
한길 백공종사님의 천부경 강의(72)
한길 백공종사님의 천부경 강의(71)
천부경을 빛깔로...天一一 地一二 人一三 (천일…
천부경을 빛깔로...析三極無盡本(석삼극 무진본
화니의 재미있는 桓세상이야기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13] 사람이 바뀌지 않으면…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12] 잘못됨을 알면서도 바…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11] 무엇보다 홍익하는 자…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10] 아무리 지식이 많아도…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9] 애국애족은 쉽지 않다.…
김응렬의 생각없이 읽는 철학
[다석어록 - 8] 제나는 말, 얼나는 기수
[多夕語錄 - 7] 얼나
[책속의 한 줄 - 3_4] 요가난다 자서전(기리 발라)
[책속의 한 줄 - 5_3] Conversations with God : book 3
[책속의 한 줄 - 5_2] Conversations with God : book 2
이강산의 통일을 위한 한민족 역사공부방
가섭원부여기 [복애거사 범장 찬] 시조 해부루
북부여기 [복애거사 범장 찬] 북부여기하 _ 5세 …
북부여기 [복애거사 범장 찬] 북부여기상 _ 3세 …
북부여기 [복애거사 범장 찬] 북부여기상 _ 시조…
단군세기(檀君世紀) 제46세 단군보을 / 제47세 단…
조홍근의 홍익인간 7만년 역사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7대 두밀 …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7대 두밀 …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6대 추로 …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5대 솔나 …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5대 솔나 …
박현우의 가림토한글
한울(○).가를(十)
을미일 왕께서 아뢰시니
고한글 가릶톬
動動歌(동동가)
한 얼을 찾아서. [산해경 해내북경..氷夷(빙이)…
김용성의 태극한글 "신획"
[미치다]의 어원은 [밑+치다]입니다. (2)
마츄픽츄는 원주민 언어로 오래된 이라는 뜻
치우천황은 누구인가? 치우기록들!
시애틀에 대한 어원 고찰
우리말로 읽어야 뜻을 아는 영어
천부경, 삼일신고를 논하다
[참한역사신문] 마고천부경(麻姑天符經) 해독 … (1)
[참한역사신문] 천부경의 내력
[참한역사신문] 묘향산 석벽본 천부경(天符經) …
[참한역사신문] 부도지와 천부…
[조홍근의 천부역사태학원] 하늘, 하늘님이란 - …
치화경治化經 인간366사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1훈(誠(성)) '정성…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1훈(誠(성)) '정성…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1훈 '정성'에 대…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1훈 '정성'에 대…
인간366사 제8훈 응함 _ 제6장 「응함」은 작음으…
성미경의 삼일사랑방
2022 배달문화원 애국가 - 독립군가
[KBS 다큐] 대장경에 담긴 '천년의 진리' -…
[배달문화원 개천이야기9-02] 3·1독립선언서(三…
[배달문화원 개천이야기9-01] 대한독립선언서(大…
[배달문화원 개천이야기 9] 대한독립선언서와 3…

15401031_751015161719225_6752138510359780732_n.jpg  박현우  가림토한글
 
  을미일 왕께서 아뢰시니
  
   작성자 : 배달문화원
작성일 : 2019-12-28     조회 : 3,157  


乙子(巳)
王曰尊文戊(戈)帝乙,宜才召大廷構乙.
翌日丙午□
丁未煮己
唯王才杵□其賜貝
在四月
唯王四祀翌日.

을미일
왕께서 아뢰시니
높은 문무재상들은 마땅히 소읍조정의 구(획)에 있으라 
익일 병오일에는 '하늘기릴.크올받읆(이받이제)'를 하고
정미일에 그(제물)을 삶고(煮제사를 하고)
오롯하온 왕께서 유□기에 계시어 돈을 하사하시니
사월이라.
크오신 왕께서 네번째 제사를 지내시니 (그)이틄날이다.

우리말 소리는

"날을.빌옰(스리잀).날
하늘잀을.알뢸.길이쫒올.글읈.돗날.이를.맡올이.들.
모땋.잇을.잇아한올긼들발갈.할잀.뒷덜올.엀갈.을.
잀털/새로틀.날.세읈.날서잀.하날기릸크올닰올.
고마.안잀.불그릀살흝으릸(쌀물부글부글).기틀.
한올.하늘잀을.잇을.공이(나모:돗올갓이나잀)끈활잇알.긼틀.
밧깘(줄).엇달(돈).잇을.뉘를.달.하날긼들잀.하늘잀을.
뉘를.하닐잀서리올.새로틀.날"

우리말소리 풀이
乙: 날.날을.나 ...→ 새(鳥)의 속성으로 새가 됨
子: 잇.앗 → 씨(氏)의 순우리말로 "앗이.아이"라 쓴글자다. 또 "앗덜>아들"은 조금다른데 "덜어온 아이 즉 머슴아이 男子"를 말하며 모계제사회의 사위를 의미하는데 복잡하여 다음에 설명하고..
子의 톬씨는 여러종류로
"곰잇.곰앗" "벌리올.벌래.뱀" 등등이 주이며
때때로 巳와 같이 쓰인다.
용족(龍.巳)의 자식인 "벌올.발아닐" 즉 
"발없을이. 또는 발안잀을이" 즉 "뱀 巳"과
"벌래 蟲"이 같은 소리말 어원이며
같은 우리소리로
"밝아닐- 非白" 이 즉 "곰/검(黑)"이라 
"곰잇.곰앗(곰아들)"이 곧 "뱀아들벌래"가
되는게
한자의 위리말 어원이 같은 이유다.

이런 연유로 유웅씨(有熊: 잇곰.곰잇.곰앗)가
곧 용족 뱀족인 華夏족의 기원이 되는 것이 자연스럽다. 우리말로 "발(밝)아닐"이 "검.곰"이기 때문에 곰족과 뱀족은 같은 뿌리 글자 다른 표현인 것이다.

여기서는 
乙巳(을사)로 乙子가 아닌 것으로 해석한건 중국학자들도 옳다. 해서 익일이 병오(丙午)일이며 그 다음날이 丁未(정미)일이 된다.

王 : "하늘잇을"
王의 초기형태는 천(天)아래에 ㅡ 이니 
"하늘잇을" 즉 땅의하늘이란 뜻이다.
ㅂ : 은 "알을" "일(日)을(ㅡ)을 쓴 글자로
같은 어원 글지는 "올알.알르올/아뢰올(古)"
이 있고 원씨글은 "알(갈)+이 (口)"다.
尊 : 한올.기릴.받들"이란 말로 
酉는 "한올.한알"로 '한아리.항아리'酉다
항아리는 "클알.클아리 大盤"니 "알.클"이라
또 "얼.클"이니 "얼큰"하다이니 곧 술(酒;얼클ㄴ하올 물)이 되어 마쉬면 "얼 心 클 大"하게 되는 것이고 하여 같은 씨글에서 나온다.

尊은 "한올받들"이니 "하늘받들"이니 곧 "하늘처럼받든다"함이다. 하여 尊貴(존귀)의 뜻이 된다.
여기 글자는 尊에 "기릴"을 의미하는 阜(긼털.기틀)이며 긼털(羽)의 씨글이 들어가
"기릴" 즉 "기리다.쫒다.따르다"의 삼신한말로 
본디 씨글은 "긼(羽)"다. 즉 긼(羽)또는 털(毛)의 합성어가 되기전 씨말 "긼"을 그린 상형문자에서 "길(長)" "기리다(長)"의 씨글이 나온다.

기릴酉 즉 尊의 삼신한말이 "쫒다(따르다)"이므로 
모이를 "쫏"는 성격을 지닌 닭(鷄)을 의미하여 또
닭酉(쪼을)의 지지(간지)가 되는것도 이러한 우리말에 근거한다.

文은 "얼 心 것 形 이읈"으로 얼(心)이 생략되어 
"것이을" 또는 "(엇)그읈X"을 씨말로 한 글자로 우리말 "글월.그읈얼"을 쓴 글자로 후대에 心이 생략된 글자다.

戊는 武며 戈를 씨글 씨말로 하고
"돗.날.잇을"로 "돗아난 날 있을" 이(것)을 이르니
"갓잀.날"로도 읽어 "날(乂예) 가진 것"을 이르니
끝에 칼.날을 단 창.모 등의 병장기를 이름하며 사람이름에 쓰일때는 "돗날 早日" 즉 "돗해"로 
땅에 돋은 해 즉 하늘같은이를 이른다. 
같은 씨말을 가진이들이 곧 虎族(호족)이니
"돗날" 즉 "돗해" 땅의 해. 땅의하늘의 자손이라 일컷는다. 대표적인 씨족은 吳씨다.
虎는 "돗.날(닛.읻).할이". 니 '덧니가큰 동물"을 이름한다. 吳의 본글자는 虎아래 吳로 夏씨의 조상의 이름이다. 우리말로 "돗날.바르.난.이"로 읽히며 "돗해(가)바로난이"이 "땅의해의직계"란 의미라 하겠다. 吳는 자체로 "밝.날.잇을"로 "밝은해잇을"이란 뜻글이다. 虎와 吳는 다른형태 같은 뜻글임을 알 수 있다.
戎: 할.날.갌을잀 (큰날갖을이)
戊: 할돗날잀(큰날갖을이)
戈: 돗날잀.날돗을잀.날갌잀.
이 글에서 날(ㅡ)을 빼면
支: 갓이 즉 오늘날 "가지 枝"의 씨글이니
같은 소리글을 씨글로 하며 
근본 씨글은 ㅏ(卜)이니 
占: 갓을
이라 소리한다. 물론 占은 卜(가리.가려)ㅂ(알)로
"가려앎" "가릶"을 이르기도 한다.

之(止)는 발성법이 여러개로 뉘어쓰면 "이를.이을"之
바로 쓰면 "갓일"로 "갓칠.긋칠 止"가 되며 때때로
"올"로 종성소리 (ㅗㄹ)이 된다. 여기서는 "이을.이를"로 어조사로 사용한다.

宰 :맡올.맡을.맡이
로 宰相(맡을.살펴볼이)의 씨글이며
"ㅡ 하늘 帝(맡.뫁이)"로 쓰니 "하늘뫁.하늘맡"은
하늘과 같다는 뜻의 우리말이고 또는 하늘을 맡은이 즉 대신하는이란 의미기도 하다.
"해뫁.해뫁우.해모수"와 같은 조어형식이다.

같은 씨글에서 나온 글자는
"辛 매올"이 있고 "言말.말올.말알"이 있으며
또 재상 宰(宰相:맡아세세이볼이)가 있다. 재상의 相은 씨글이 省과 같고 우리말 "세小.볼目"으로
"세세이볼"로 읽어 省(살필 성)이니 宰相의 다른 이름은 大監(대감: 클+덜여보올)이니 '세세이볾省.相'과 '덜여다볾監"이 "살핆"의 뜻말이기 때문이다. 
아울러 省은 "서로(세이)볼"로 달리 읽어 "마주보는 상태"인 서로(相)이되니 두 글은 본디 큰차이가 없이 같이 쓰이다 분화된 글자이다.

宜 : 모닿.마땋
으로 "모 △" +"딸 月月"+"하 ㅡ(하늘)"의 합성어다.
글자 형태를 모아 "모달달하"로 중복소리를 내어 "모따ㄹ하" "모땋"이 나오게 쓴 글로 후대에는
"모 ㅅ" "둘 八" 하 ㅡ" 로 변형되어 같은 씨글들은
"마땅히갖을" 즉 "몫있을" 商
"맛땅히갖을" 賞
"마땅할" 當
"모닿하늘 터" 堂(하늘맣닿을)
이 모두가 같은 씨말 씨글에서 나오는 글자다.

才 잇을 = 在는
十 즉 이(ㅣ)을(ㅡ)에 빗칢(/)이 들어간 글자이나 때때로 빗침(/)을 생략하기도 한다. 둘은 소리가 다르지만 쓰임에서 혼동하거나 간략히 쓴 것으로 보인다. 

召 는 주나라 소왕에서 나온 글자로 소읍을 뜻한다.
享 (: 한올받을.받을한알.받을한오리)을 기본 글자로 하며 여기에 人(잇을) 긼들(羽의 변형)을 기본 글자로 하니 "한올부를" 한얼부를로 "부르다 召"라 한다. 본디 소왕(王).소읍(邑)의 씨칭이니 
"한얼받읆이클 享" 즉 본디 씨글 "고맷받읆하올" 고맷받읆크올 에 "잇어긼들"이니 "하늘잇어 누릶이 크게 긼들"이란 뜻소리 글자다. 

大 : 크올.한올.밝잇을.솟을잀..
廷 : "뒷.덜.올" 로 우리말소리 "뒷뜰"을 쓴 글자다.
여기에 耳(덜얼/들을.것/겉.잀을)의 "덜"에
올.알(ㅂ)이 들어가 
"뒷덜"의 된소리 표기다. 
본디 朝廷은 "밝달(나라)뒷뜰"을 이르는 말로
朝鮮의 뒷뜰에서 대소신료들이 모여 국사를 의논함에서 비롯된 글자다. 
일반적으로 廷은 "뒤잇느를뜰"로 표기되며 
늘일 延(연)과 같은 씨글.씨말을 공유한다. 

..
 
 
TOTAL 32
게시물이 없습니다.
1 2



- 맨위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