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삼일신고(三一神誥)는 고구려의 멸망시, 그 유신(遺臣)대조영이 민족의 경전(經典)인 신사기(神事記) 등을 품고, 말갈의 땅으로 도피하여, 발해국을 일으켜 세운 뒤, 지난 역사에 전란(戰亂)으로 민족의 경전이 없어진 경우를 생각하여, 항상 잘못될까 염려하던 중, 영원히 없어지지 않게 하려고, 신사기(神事記)와 임금이 지은 삼일신고 예찬(三一神誥 禮讚)을 첨부한 삼일신고(三一神誥) 해설집 등 민족의 경전을 보본단(保本壇) 돌집속에 간직하여 두었던 것이다.(단기 3,031(서기 968)년 대흥 3년 3월 15일) 그 후 1,000여년이 지난 조선 말에 민족종교의 교맥을 이어 중광(重光)한 단군교(檀君敎) 초대 대종사(一代 大宗師)가 되신 백봉신형(白峯神兄)이, 십년을 하늘님께 원도하여 대황조(大皇祖) 단군성신(聖神)의 묵계를 받으시고 보본단 돌집을 찾아내어, 그 속에서 민족경전과 단군실사(檀君實史)를 얻으셨다. 그리하여 백봉(白峯) 대종사는 단기 4237(서기1904)년 갑진(甲辰)년 음력 10월 3일 백두산 대숭전(大崇殿) 동무고경각(東無古經閣) 단군교 본부에서 13인의 제자들이 자리를 같이하여 작성하고 서명한 단군교 포명서(檀君敎布明書)를 공포하고, 그후 13인의 제자들을 13도에 배치하여 단군교 포명서를 선포케 하였으며, 또 20인의 제자들을 동원하여 요동, 만주, 몽고 및 숙신, 여진, 말갈, 거란, 선비구강에 이르는 청(淸)나라와 일본 등 각지로 파송하여, 단군교 포명서를 선포하게 하였던바, 이듬해 단기 4238(서기 1905)년 섣달 그믐날 밤(서기 1906년 1월 24일) 백봉대종사는 90고령의 두암백전(頭巖白佺)선옹을 보내어 구국운동으로 일본을 다녀 오는 홍암(弘岩)나철(羅喆)에게 서울 서대문역에서 만나, 삼일신고해설집과 신사기(神事記)를 전하여 주었다.
그러나 홍암나철(弘岩羅喆)은 당시 구국(救國)의 정치 외교행각에만 관심이 집중된 때인지라 별로 관심 없이 집에 가져다 놓았다고 한다. 그후 단기 4241(서기 1908)년 12월 5일 정훈모 동지와 홍암나철은 4번째로 일본에 건너가 구국외교의 정치행각을 위하여 동경 청광관에 머물때, 백봉대종사가 두번째로 보낸 미도두일백(彌島杜一伯)선옹이 찾아와, 단군교 포명서를 비롯하여 고본신가집(古本神歌集), 입교의절(入敎儀節), 봉교절차(奉敎節次), 봉교과규(奉敎課規) 등의 책을 전하면서,「라공(羅公)과 정공(鄭公)이 금후에 할 일은 단군교 포명서 선포(宣布)에 관한 일이니 명심하시오.」하고 떠났다고 한다.
그러나 그후 홍암나철 일행은 일경(日警)의 탄압을 피하여 숙소를 개평관으로 옮겼는데, 미도선옹이 새벽같이 또 찾아와 엄숙한 표정으로, 「국운(國運)이 이미 다 하였는데 어찌 바쁜시기에 쓸데 없는 일로 다니시는가? 곧 귀국하여 단군대황조의 교화(敎化)를 펴시오. 이 한마디가 마지막 부탁이니 빨리 떠나시오.」
하고는 바람같이 떠났다고 한다.
비로서 홍암나철은 대오대각(大吾大覺)하였으며, 그 길로 귀국하여 이듬해 단기 4242(서기 1909)년 음력 1월 15일, 종로구 재동 한 초가집에서“대황조 단군신위(大皇祖 檀君神位)”
의 위패(位牌)를 북벽에 모시고 단군교 서울시교당을 차리고, 수십명의 동지들과 단군교(檀君敎) 포명서(佈明書)를 선포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단기 4243(서기 1910)년, 일본이 우리나라를 병탄(倂呑)하면서 한일합방을 지지하는 성명을 내도록 압박하고 탄압하자, 홍암대종사는 단군교(檀君敎)를 대종교(大倧敎)로 개명하여, 탄압을 피하여 만주로, 대종교 총본사를 옮기었다. 그러나 정훈모선생을 비롯한 일부 교우들은 교단 개명을 반대하고, 단군교 교명을 지키며, 안양 시교당을 중심으로 포교 활동을 하게 되었다.
결국 단군교는 대종교와 단군교로 갈라지게 된 셈이다. 이렇게 하여 신사기와 삼일신고 해설집등 민족경전은 대종교와 단군교로 전하여 오늘의 이르게 된 것이다.
또 한편은, 계연수(桂延修)선생에 의하여 한단고기(桓檀古記)가 전해지면서 그 속에 천부경(天符經)과 더불어 삼일신고(三一神誥) 및 참전계경( 佺戒經)의 존재도 알게 되었다.
삼일신고 머리말[三一神誥序] -대야발(발해 고왕의 아우)-
신이 그윽히 엎디어 듣자오니 온갖 조화된 것은 형상이 있고 천지를 창조하신 참임자는 모습이 없느니라. 아무 것도 없는 데서 만들고 돌리고 진화시키고 기르는 이가 곧 한얼님이요, 형상을 빌어 나고 죽고 즐기고 괴로워하는 것들이 바로 사람과 만물이니라. 처음에 한얼님이 주신 성품은 본디 참과 가달이 없었건마는 사람이 그것을 받은 뒤로부터 순수하고 섞임이 있게 되었으니 비유하건대 백 군데의 냇물에 한 달이 같이 비치고 같은 비에 젖건마는 만 가지 풀이 다 달리 피어남과 같음이니라.
애ㄷㅏㄿ다! 모든 사람들은 차츰 사특하고 어리석음에 얽히어 마침내 어질고 슬기로움에는 어두워지며 마음 속의 완악한 불길이 세상 물욕을 끊이고 서로 다투는 허망한 생각의 먼지가 본성의 마음구멍을 가려 그로 말미암아 흥하는 듯 망하고 일어났다가는 꺼지는 것이 마치 아침 햇빛아래 노는 뭇 하루살이와 같고 밤 촛불에 날아드는 가엾은 나비를 면하지 못하거니 이는 어린 아들이 우물에 빠지는 것에만 비길 바 아니거늘 어찌 인자하신 아버지가 차마 이것을 바라만 보고 있을 것이랴, 이것이 무릇 큰 덕과 큰 슬기와 큰 힘을 가지시고 한배께서 사람의 몸으로 화하여 세상에 내려오신 까닭이시며 또 교화를 펴고 나라를 세우신 까닭이니라.
이 <삼일신고>는 진실로 머리 속에 보배로이 간직한 가장 높은 이치요 뭇 사람들을 [밝은 이]가 되게 하는 둘도 없는 참 경전이니 그 깊고 오묘한 뜻과 밝고 빛나는 글이야말로 범인의 육안으로는 엿보아 알 수 있는 것이 아니리라.
우리 임금께서는 본디 한울이 내신 이로 한얼님의 내려 주신 계통을 이어 나라 터전을 정하시고 예복을 입으시고서 한울의 말씀이 적힌 거룩한 책궤를 받들어 비로소 친히 보배로운 예찬을 엮으시니 오색이 은하수에 나부끼고 일곱 별들이 북극성에 둘리는데 이 때 사방 바다엔 물결이 잔잔하고 모든 나라 백성들이 편안해지니 어허! 거룩하시오이다.
신이 외람되이 모자라는 학식으로 감히 거룩하신 분부를 받드오니 재주는 한정이 있고 진리는 무궁하와 마음으론 말하고 싶사오나 입으론 미치지 못하오며 비록 이 글을 짓기는
천통십칠년삼월삼일(天統十七年三月三日)에 반안군왕신야발(盤安郡王臣野勃)은 봉칙근서(奉勅謹序)하노이다. 출처:삼성의 역사
1. 하늘에 대한 가르침(天訓 천훈, 36자)
한웅천왕께서 이르시되, 너희 오가의 무리들아 ! 저 파란 창공이 하늘이 아니며 저 까마득한 허공이 하늘이 아니다. 하늘은 얼굴도 바탕도 없고 시작도 끝도 없으며, 위 아래와 둘레 사방도 없고,비어 있는 듯 하나 두루 꽉 차 있어서 있지 않은 곳이 없으며, 무엇이나 감싸지 않은 것이 없다.
하느님은 그위에 더 없는 으뜸 자리에 계시며, 큰 덕과 큰지혜와 큰 힘으로 하늘을 만들고 온누리를 주관하여 만물을 창조하시었으나 아주 작은 것도 빠진게 없으며 밝고도 신령하여 감히 인간의 언어로는 표현할 길이 없다.언어나 생각을 통해 하느님을 찾는다고 해서 그 모습이 보이는 것은 아니다. 오로지 자신의 진실한 마음을 통해 하느님을 찾으라. 그리하면 너의 머리속에 이미 내려와 계시리라.
하늘은 하느님의 나라라. 하느님의 집은 온갖 착함으로써 섬돌을 하고, 온갖 덕으로써 문을 삼았으니, 하느님이 거처하시는 곳은 뭇 신령들과 모든 밝은이들이 모시고 있어, 지극히 복되고 가장 빛나는 곳이니, 오직 참된 본성을 통달하고, 모든 공적을 다 닦은이라야, 하늘집에 나아가 조회하며, 영원토록 쾌락을 얻을 것이다.
끝없이 널린 저 별들을 보라. 이루 셀 수가 없으며 크기와 밝기와 괴롭고 즐거움이 다 다르다.하느님께서 온누리를 창조하시고 해누리의 사자들로 하여금 칠백세계로 나누어 다스리시게 하시었다. 너희 눈에는 너희가 살고 있는 땅이 제일 큰듯 하나 사실 한 알의 구슬에 지나지 않는다. 하느님께서 온누리를 창조하실 때 중신의 거대한 기운 덩어리가 폭발하여 무수한 별들이 생겨나고 바다와 육지가 이루어져서 마침내 지금과 같은 모습을 갖추었다. 하느님께서 기운을 불어 넣어 땅 속 깊이까지 감싸고 햇빛과 열로 따뜻하게 하여 걷고 날고 허물벗고 헤엄치고 흙에서 자라는 온갖 것들이 번성하게 되었다.
爾觀森列惺辰 數無盡 大小明暗苦樂不同 이관삼렬성진 수무진 대소명암고락 부동
一神造群世界 神勅日世界使者 轄七百世界 일신조군세계 신칙일세계사자 할 칠백세계
爾地自大一丸 世界中火震盪 海幻陸遷乃成見象 이지자대일환 세계중화진탕 해환육천내성견상
神呵氣包底 煦日色熱 行翥化游栽物繁植 신가기포저 훗일색열 행저화유재물번식
5. 사람에 대한 가르침 (眞理訓 진리훈, 167자)
사람과 만물은 삼진(三眞: 세가지 본성, 또는 진여의 세가지 모습)을 똑같이 받아 난 것이니, 그것이 바로 성(性)과 명(命)과 정(精)이다.만물이 한가지로 치우쳐 생겨난 것이 사람이니, 그 성(性)의 참된 모습은 선(善)하고, 악(惡)함이 본시 없는 것이라, 이것을 아는 것이 상의 깨달음으로 통(通)이라한다. 그 명(命)의 참된 모습은 맑고 탁함의 구별이 없는 것이라. 이것을 아는 것이 중(中)의 깨달음으로 지(知)라 한다. 그 정(精)의 참된 모습은 두텁거나(厚) 빈약한(薄) 차별이 본시 없는 것이라. 이것을 아는 것이 하(下)의 깨달음으로 보(保)라 한다. 이 삼진 하나로 돌아가면 그것이 참된 신(神)이 됨이다.
사람이 미혹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이유는 삼망(三忘)이 뿌리를 내리고 있기 때문이며 이 세 가지 망집(忘執)은 마음(心)과 기(氣)와 몸(身)이다. 마음은 성(性)에의해 나타나는 것이라 선한 마음과 악한 마음이 있으며, 선한 마음은 복이 되고, 악한 마음은 화를 부르는 것이다. 기는 명(命)에 의한 것이니, 맑고 탁함으로 나뉘므로 맑은 기는 장수(長壽)를 이루고 탁한 기는 단명(短命)하게 만드는 것이다. 몸은 정에 의한 것이니 후하고 박함이 있으며, 몸이 후하면 귀하게 되고 몸이 박하면 천하게 되는 것이다.
진망(眞妄: 三妄,즉 心, 氣, 身)이 만들어 내는 삼도(三途)가 있으니, 이를 일컬어 감(感)과 식(息)과 촉(觸)이라 한다. 이 세 가지가 성질을 바꾸어 18가지 경계를 나타내니, 감이 성질을 바꾸어 기쁨(喜), 두려움(懼), 슬픔(哀), 분노(怒), 탐욕(貪), 싫어함(厭)으로 나타난다. 식이 성질을 바꾸어 향기(芬), 문드러짐(), 차가움(寒),뜨거움(熱), 건조함(震), 젖음(濕)으로 나타난다. 촉이 성질을 바꾸어 소리(聲), 보이는 (色), 냄새(臭), 맛(味), 욕(慾情) 맞다음(抵)을 만드는 것이다.
착하고 악한 것, 맑고 탁한 것,그리고 후하고 박한 것이 모여 서로 뒤섞여 경(境)을 좇아 일어난 것을, 삼도(三途: 감感, 식息 촉觸)가 믿고 따라 가다가 같이 미혹으로 떨어지므로 나고, 자라고, 늙고, 병들고, 죽는 고뇌에 쌓이게 되는 것이다. 지감(止感)과 조식(調息)과 금촉(禁觸)을 한 뜻으로 행하여,세가지 망에 반하여 일대신심(一大神心)을 일으키면 이를 성통공완이라 하느니라.
(다음은 이 글을 정리한 분이 '기'에 대한 부분을 가지고 옮겨놓은 글이다. 여기에서 운영자는 내가 아님..ㅋㅋ)
마지막 5장 진리훈 167자는 구름 이경숙님의 저서 <마음의 여행>에서 발췌한 것이다.책을 사놓고 한2년 정도 되었는데 시간 날 때마다 조금씩 읽던 책이다. 처음 읽을 때는 별 생각없이 지나 쳤는데 요즘에 삼일신고를 좀 다듬다 생각이나서 뒤져보니까 거기 있는거야.역시 구름이다. 다른 사람들 해설 해놓은 걸 읽었을 땐 잘모르니까 그저 그런 가보다 하고 넘어 갔었는데 구름의 해설을 딱 보니까 달러! 확 와닿는거야 가슴에, 확실히 구름의 실력은 다른 사람들과 다르다. 수준이 다르다는 얘기다. 물론 내가 구름 예찬자라 그런진 몰라도 다르다. 다시 이야기하면 진실이라는 이야기이다. 진실을 보는 능력이 있다. 1장서부터 4장까지도 해설을 해줬으면 좋겠다. 기대해 본다. 그래야 엉성한 엉터리 해설들이 난무하지 않게된다. 그래야 천손족인 우리 한민족의 우수성과 우리 고유 종교의 신뢰성을 대내외에 과시하게 되며 그와 동시에 뜻도 모르고 전국 각지에서 기수련을 하는 많은 사람들이 올바른 수련을 하게 될것이며 단전 호흡을 하는많은 사람들도 효과적인 수련을 할 수 있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2003년10월20일 <운영자>
우리 민족의 옛 경전인 <삼일신고, 三日神誥>가 환웅천왕 시대인 기원전 3897~3804년경에 문자로 기록된 것이라 하므로, 이것이 사실이라면 기에 대한 최초의 기록으로는 중국의 <황제내경>보다 길게는 3천5백 년, 짧게는 1천2백 년을 앞선것이 된다. 적어도 기와 그것의 수련에 대해서 만큼은 우리 나라가 그 시원 국가라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 연유 때문 인지는 몰라도 우리 나라는 예부터 불가의 스님들 외에도 수많은 진인과 선인들이 살았던 도향(道鄕)이었다.
사람과 만물(물질)은 삼진(三眞 : 세 가지 본성,진여의 세 가지 모습)을 똑같이 받아난 것이니,그것이 바로 성(性)과 명(命)과 정(精)이다.만물이 한가지로 치우쳐 생겨난 것이 사람이니, 그 성(性)의 참 된 모습은 선(善)하고 악(惡)함이 없는 것이라, 이것을 아는 것이 상(上)의 깨달음으로 통(通)이라 한다. 그 명(命)의 참된 모습은 맑고 탁함의 구별이 없는 것이라, 이것을 아는 것이 중(中)의 깨달음으로 지(知)라 한다. 그 정(精)의 참된 모습은 두텁거나(厚) 빈약한(薄) 차별이 본시 없는 것이라, 이것을 아는 것이 하(下)의 깨달음으로 보(保)라 한다. 이 삼진 하나로 돌아가면 그것이 참된 신(神)이 됨이다.
이 <삼일신고>의 첫 문장은 우리의 삼신교가 불교 보다도 명확하게 인간이 물질과 그 본(本)을 같이하는 것임을 말하고 있어 놀랍다. 인간을, 물질의 성질이 하나로 압축되어 비롯된 전체상(통합체)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 내가 이책의 앞에서 생명의 시원을 물질에서부터 찾으려 했던 것과 같은 직관과 통찰에 바탕한 인간관이고 생명관이다. 불교에서 오온(五蘊)으로 설명하고 있는 것을 삼신교에서는 삼진으로 설명하고 있다. 색, 수, 상, 행, 식의 오온을 성,명,정으로 나타내고 있는데, 내 생각으로는 오온의 개념 보다 삼진의 개념이 훨씬 설득력이 있어 보인다. 이책의 마지막 장인 "마음의 귀향, 반야"에서 설명되는 오온과 이 삼진을 비교 해보기 바란다.
진성이 선악이 없고, 진명이 청탁이 없으며, 진정이 후박이 없다는 부분은 불교의 연기설에서 말하는 진여(眞如)와 그 의미와 설명법에서 완전히 일치하고 있다. 만약 <삼일신고>의
연대가 환웅 시대가 맞다면 석가모니의 혈통이 동이족이었으며, 불교의 철학적 뿌리가 우리 민족이라는 재야 사가의 주장이 맞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 정도다. 두 번째 구절의 뜻을 보자.
사람이 미혹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이유는 삼망(三妄)이 뿌리를 내리고 있기 때문이며, 이 세가지 망집(妄執)은 바로 마음(心)과 기(氣)와 몸(身)이다. 마음은 성(性)에 의해 나타나는 것이라 선한 마음과 악한 마음이 있으며 선한 마음은 복이되고, 악한 마음은 화를 부르는 것이다. 기는 명(命)에 의한 것이니 맑고 탁함으로 나뉘므로,맑은 기는 장수(長壽)를 이루고 탁한 기는 단명(短命)하게 만드는 것이다. 몸은 정(精)에 의한 것이니 후하고 박함이 있으며, 몸이 후하면 귀하게 되고 몸이 박하면 천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세 가지 망(妄)은 인간을 미혹에서 헤어나지 못하게 하는 세가지 원인인 망집을 일컷는다. 불교에서 하나로 말하는 무명(無明)이나 셋으로 나누어 말하는 탐진치 같은 맥락의 원인 분석이다.
세가지 진성(眞性)인 성과 명과 정은 본시 선악이 없고, 청탁이 없으며, 후박이 없는 평등 보편한 것인데 이 삼진에 의해 나타난 현상은 각각 마음과 기와 몸으로서 선악,청탁,후박을 가지는 차별적인 존재로 나타났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 부분 역시 진여와 현상계를 구별지어 설명하는 불교의 교리와 완전히 일치한다. 마치 불교가 삼신교의 표절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정도다. 아니면 그 반대이거나.
<삼일신고>에 따르면 인간의 본성을 선하고 악한 것으로 가름하는 것은 마음이고, 오래 살고 일찍 죽는 명을 결정하는 것은 기이며, 사람의 귀하고 천함을 좌우하는 것이 몸이다.
여기서 우리 민족의 삼신교와 동양의 삼대 정신인 유불선의 차이를 엿볼 수 있다. 마음,기 몸의 삼망(三妄) 중에서 오직 마음 하나에 매달린 유심론(唯心論)이 불교라면, 기를 튼튼히 해서 불로장생하는 신선의 길을 찾는 것이 도교라 하겠고, 입신의 처세를 올바로 해서 귀하게 될 수 있는 양명을 가르친 것이 유교로 보면 맞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의 삼신교는 이 세가지를 편중됨 없이 하나의 사상 체계 속에 다루고 있다. 즉, 우리 민족의 고유한 신앙을 동양의 삼교(유불선)가 그 뿌리로 삼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것이다. 어떤 면에서 유불선은 수입된 외래 종교가 아니라 우리에게서 전해져간 사상체계가 세계로 분파된 다음 보다 완성된 형태로 돌아 온 것인지도 모른다. 세 번째 구절의 뜻을 알아보자.
진망(眞妄: 三忘, 즉 心, 氣, 身)이 만들어 내는삼도(三途)가 있으니, 이를 일컬어 감(感)과 식(息)과 촉(觸)이라 한다.이 세 가지가 성질을 바꾸어 열 여덟 가지 경계를 나타내니, 감이 성질을 바꾸어 기쁨(喜), 두려움(懼), 슬픔(哀), 분노(怒), 탐욕(貪), 싫어함(厭)으로 나타난다. 식이 성질을 바꾸어 향기(芬),문드러짐(爛), 차가움(寒), 뜨거움(熱), 건조함(震), 젖음(濕)으로 나타난다. 촉이 성질을 바꾸어 소리(聲), 보이는 것(色), 냄새(臭), 맛(味), 욕정(欲情), 맞닿음(抵)을 만드는 것이다.
이 구절의 내용은 불교의 사대(四大), 육경(六境), 오온(五蘊)의 설을 한 문장에 집약해 놓은 듯하다. 석가세존 이전부터 인도에서는 세계를 구성하는 네 가지 원소를 지(地), 수(水), 화(火), 풍(風)의 사대로 설명하는 사상이 있었다. 지는 단단하므로서 모든 물질을 의미하고, 수는 습기로서 물질 속의 생명의 기운을 말하고,화는 열기로서 만물을 숙성시키는 기운이며, 풍은 움직이며 살아있는 힘을 의미한다.
지(地), 수(水), 화(火), 풍(風)의 네가지 요소가 모여서 우주의 삼라만상을 이루었다고 하는 이론이 바로 적취설(積聚說)인데, 불교는 이 적취설을 계승하여 그대로 받아 드렸다.
반면 사대사상인(四大思想)인 적취설에 대립되는 또 하나의 이론인 전변설(轉變說)은 삼라만상을 구성하는 우주적인 마음이 있어 이를 범(梵)이라 하고 이 범이 성질을 바꾸고 변화하여 만물을 생성 시킨다는 이론이다.
불교는 세계를 이루는 근본 요소에 대한 전래의 두 이론 중에서 적취설을 택하여 이 사대가 인연에 따라 뭉쳐서 나타나며 , 인연이 다하면 본래의 모습인 사대로 돌아간다 는 인연법의 재료로 삼은 것이다 .
신체의 다섯 가지 감각 기관인 안 (眼), 이(耳), 비(鼻), 설(舌), 신(身)의 오근 (五根) 을 통하여 들어오는 다섯 종류의 정보를 오경 (五境) 이라 하고 이 오경이 정리되고 해석되는 것을 전오식(前五識)이라 한다는 것은 앞에서 설명한 내용이다 . 이 오경에 여섯 번째인 의식이 받아 들이는 정보를 더해서 육경 (六境)이라 한다 . 육근과 육경을 합하여 십이처 (十二處) 라 하기도 한다
오온은 인간의 다섯 요소인 색(色), 수(受), 상(想), 행(行), 식(識)을 말한다 . 《삼일신고》와 불교 이론 체계의 흡사함은 놀라울 정도다 . 두 가지 이론 체계 사이에는 차원의 나눔에서 중복과 혼재가 있긴 하다. 즉 , 《삼일신고》의 삼진(三眞), 삼망(三妄), 삼도(三途)와 십팔경 (十八境)은 그 구분에서 불교와 약간의 차이는 있어 보인다 . 그러나 사대 , 육경십이처(六樓十二處), 오온의 설과 전체적으로는 다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
세 번째 구절은 마음의 여섯 가지 작용 , 기의 여섯 가지 나타남 , 몸의 여섯 가지 받아들이는 느낌을 나누어놓은 것이라고 보면 될 것이다 . 《삼일신고》의 마지막 구절을 보도록 하자.
착하고 악한 것, 맑고 탁한 것, 그리고 후하고 박한 것이 모여 서로 뒤섞여 경(境) 을 쫓아 일어난 것을 , 삼도(三途 ; 感, 息, 觸) 가 믿고 따라가다가 같이 미혹으로 떨어지므로 나고,
자라고, 병들고, 죽는 고뇌에 쌓이게 되는 것이다 . 지감(止感 )과 조식(調息)과 금촉(禁觸) 을 한 뜻으로 행하여 , 세 가지 망에 반하여 일대신심(一大神心)을 일으키면 이를 성통공완( 性通功完)이라한다 .
이 부분은 마치 불교의 사성제(四聖階)를 그대로 옮겨놓은 듯하다 . 사성제는 고(苦), 집(集), 멸(滅), 도(道)의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라는 의미로 , 원시 불교의 교리에서 대강(大綱)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 고제(苦啼)는 인생은 괴로움이라는 진리이며 , 집제(集啼)는 이 괴로움의 원인이 집착과 탐욕에서 비롯되었다는 진리이며, 멸제(滅啼)는 이 애착심을 끊어야 한다는 진리이며, 도제(道啼)는 인생고를 멸하고 열반에 들기 위해서 행해야 하는 실천적인 방법들을 설명한 진리다 . 팔정도( 八正道 : 정견, 정사유, 정어, 정업, 정명, 정정진, 정념, 정정)와 육도( 六度 : 보시, 지계, 인욕, 정진, 선정, 지혜)그리고 삼학(三學 : 계,정 ,혜)을 그 바른 길로서 제시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