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일아카데미_삼일학 연구원
삼일학연구원 최근게시글

춘천 중도 선사유적지
[이덕일 역사TV] 세계적인 고조선 유적지에 레고…
[춘천 중도 고조선 유적지의 역사적 고찰] 3. 단…
[춘천 중도 고조선 유적지의 역사적 고찰] 2. 고…
[춘천 중도 고조선 유적지의 역사적 고찰] 1. 춘…
[반크] 레고랜드 플라스틱 장난감에 의해 어이…
정길선의 북방유라시아 유목사 산책
포르투갈의 고인돌 문화 - 카스트로 문화(Castro c…
알타이의 텡그리를 바라보며...
투르크-타타르의 Умай (우마이) 여신에 대하여
페르가나의 지형
고대 중앙아시아 유목민족들의 개념
유범식의 천지자연의 법 조선철학
3. 혁명을 사랑하는 이들을 위하여 [우리의 조선…
3. 혁명을 사랑하는 이들을 위하여
2. 뿌리없는 사상적 흐름을 경계하며
제5장 한국 사회운동 단편 - 1. 노동자운동의 기…
존엄어린 죽음 - 인신공양 / 평화의 땅에서 살육…
팔봉산의 하나민족 이야기
한국인의 하나복본 5
한국인의 하나복본 4
한국인의 하나복본 3
한국인의 하나복본 2
한국인의 하나복본 1
한길 백공종사의 배달학당
白空 한길 종사님의 천부경 강의(73)
한길 백공종사님의 천부경 강의(72)
한길 백공종사님의 천부경 강의(71)
천부경을 빛깔로...天一一 地一二 人一三 (천일…
천부경을 빛깔로...析三極無盡本(석삼극 무진본
화니의 재미있는 桓세상이야기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13] 사람이 바뀌지 않으면…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12] 잘못됨을 알면서도 바…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11] 무엇보다 홍익하는 자…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10] 아무리 지식이 많아도…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9] 애국애족은 쉽지 않다.…
김응렬의 생각없이 읽는 철학
[돌아보기 - 11] 창세기 2장 4절, 두 개의 창조이…
[동영상 - 1] 인간은 동물로 재생(再生)하지 않는…
[책속의 한 줄 - 7] 장일순 평전, 무위당의 아름…
[다석 유영모 명상록_1] 出于天來歸終天
[책속의 한 줄 - 6_2] At the Feet of the Master
이강산의 통일을 위한 한민족 역사공부방
가섭원부여기 [복애거사 범장 찬] 시조 해부루
북부여기 [복애거사 범장 찬] 북부여기하 _ 5세 …
북부여기 [복애거사 범장 찬] 북부여기상 _ 3세 …
북부여기 [복애거사 범장 찬] 북부여기상 _ 시조…
단군세기(檀君世紀) 제46세 단군보을 / 제47세 단…
조홍근의 홍익인간 7만년 역사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7대 두밀 …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7대 두밀 …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6대 추로 …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5대 솔나 …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5대 솔나 …
박현우의 가림토한글
한울(○).가를(十)
을미일 왕께서 아뢰시니
고한글 가릶톬
動動歌(동동가)
한 얼을 찾아서. [산해경 해내북경..氷夷(빙이)…
김용성의 태극한글 "신획"
[미치다]의 어원은 [밑+치다]입니다. (2)
마츄픽츄는 원주민 언어로 오래된 이라는 뜻
치우천황은 누구인가? 치우기록들!
시애틀에 대한 어원 고찰
우리말로 읽어야 뜻을 아는 영어
천부경, 삼일신고를 논하다
[참한역사신문] 마고천부경(麻姑天符經) 해독 … (3)
[참한역사신문] 천부경의 내력
[참한역사신문] 묘향산 석벽본 천부경(天符經) …
[참한역사신문] 부도지와 천부…
[조홍근의 천부역사태학원] 하늘, 하늘님이란 - …
치화경治化經 인간366사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7훈 '갚음'에 대…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7훈 '갚음'에 대…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7훈 '갚음'에 대…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7훈 '갚음'에 대…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7훈 '갚음'에 대…
성미경의 삼일사랑방
2022 배달문화원 애국가 - 독립군가
[KBS 다큐] 대장경에 담긴 '천년의 진리' -…
[배달문화원 개천이야기9-02] 3·1독립선언서(三…
[배달문화원 개천이야기9-01] 대한독립선언서(大…
[배달문화원 개천이야기 9] 대한독립선언서와 3…

kur.jpg 김응렬  생각없이 읽는 철학
 
  [돌아보기 - 11] 창세기 2장 4절, 두 개의 창조이야기
  
   작성자 : 김응렬
작성일 : 2025-09-05     조회 : 131  


여호와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신 때에 천지의 창조된 대략이 이러하니라

(개역한글판 성경전서, 1979, 대한성서공회)

 

하늘과 땅을 지어내신 순서는 위와 같았다.

야훼 하느님께서 땅과 하늘을 만드시던 때였다.

And that is how the universe was created.

When the LORD God made the universe,...

(공동번역성서, 가톨릭용, 2002, 대한성서공회)

 

אֵלֶּה תּוֹלְדָוֹת הַשָּׁמַיִם וְהָאָרֶץ בְּהִבֵּרְאָם בְּיוֹם עֲשָׂוֹת יְהוָה אֱלֹהִים אֶרֶץ וְשָׁמָיִם:

(BIBLIA HEBRAICA STUTTGARTENSIA, DEUTSCHE BIBELSTIFTUNG STUTTGART)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히브리 성서의 창세기에는 두 가지의 창조설화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창세기 1장부터 2장 4절 전반부까지가 한 가지이고, 2장 4절 후반부터는 또 다른 창조이야기가 서술됩니다.

 

성서 편집자들은 서로 다른 경로로 전승된 이 두 이야기 중 어느 한쪽만 남기지 않고 모두 보존하는 길을 선택했습니다. 그 결과 두 전승이 4절 안에 나란히 이어 붙여져 오늘날의 형태가 되었습니다

 

창세기 1장부터 2장 4절의 전반부에 기록된 첫번째 설화에서 묘사한 창조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첫날 : 빛과 어둠, 낮과 밤

이튿날 : 하늘

사흗날 : 땅, 바다, 풀, 과일나무

나흗날 : 해, 달, 별들

닷샛날 : 물고기, 새들

엿샛날 : 집짐승, 길짐승, 들짐승, 남자와 여자

이렛날 : 쉼

 

이에 반해 2장 4절 후반부부터 2장 25절까지에 기록된 두번째 설화에서는, 아무 것도 없는 땅위에 진흙으로 사람을 빚어 만들고 에덴동산에 살게 했으며, 이어서 들짐승과 공중의 새를 진흙으로 만들고, 아담의 갈빗대를 하나 뽑아 여자를 만들었다고 했습니다. 이처럼 두 이야기는 전개되는 분위기나 순서, 내용이 전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통상 성서비평학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창세기 1장부터 2장 4절의 전반부까지는 P문서라 하고, 2장 4절의 후반부부터 4장까지는 J문서라 합니다.

 

J문서의 작성 시기는 대략 기원전 10세기 전후, P문서는 기원전 6세기 후반 포로기 무렵으로 보는데, 시기적으로 야훼(J) 문서보다 400년쯤 나중에 작성된 제사장(P) 문서가 창세기에서는 앞부분에 위치하게 된 것입니다.

 

P문서의 창조과정이 J문서보다 더 체계적이고 정리정돈이 잘 되어 있는 느낌을 주는 이유는 보다 후대에 편집이 되어 추가되었기 때문입니다.

 

אֵלֶּה תּוֹלְדָוֹת הַשָּׁמַיִם וְהָאָרֶץ בְּהִבֵּרְאָם

엘레 톨르도트 하샤마임 웨하아레츠 베히바르암

 

위 2장 4절의 본문 전반부는 "이것이 천지를 창조했을 때의 이야기이다"라는 뜻으로 P문서에 기록된 첫번째 창조이야기를 종료하고 있습니다.

 

בְּיוֹם עֲשָׂוֹת יְהוָה אֱלֹהִים אֶרֶץ וְשָׁמָיִם:

베욤 아쏘트 야웨 엘로힘 에레츠 웨샤마임

 

반면, 위 2장 4절의 본문 후반부는 "야훼 하느님께서 땅과 하늘을 만드시던 때에"라고 새로 시작되는 창조 이야기의 첫 운을 뗀 후에, 아담과 하와를 진흙으로 빚어 만드는 두번째의 창조설화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성서 개역한글판과 영어 성서 KJV에서는 2장 4절의 전,후반부를 확실하게 구분하지 않고 합해서 편집했습니다. 반면 최근 성서인 Good News Bible이나 가톨릭용 공동번역 성서는 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해, 후반부 시작되는 곳부터 아예 문단을 나눠 소제목으로 "아담과 하와를 지으시다. The Garden of Eden"이라 표기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창세기에 서로 다른 두 가지의 창조 설화가 나란히 실리게 된 것은, 지금의 성서가 오랜 세월 다양한 전승과 사본들이 편집된 결과임을 보여줍니다.

 

그러므로 보수 기독교인들처럼 성서에는 한 글자도 오류가 없다는 성경무오설을 고집하는 것은, 성서의 역사와 그 형성과정에 대한 이해가 결여된 매우 어리석은 행위입니다.

 

성서는 어느날 하늘에서 뚝 떨어진 것이 아닙니다. 일반 문학작품과 마찬가지로 성서 역시 사람들에 의해 쓰여지고 편집된 것입니다.

 
 
TOTAL 94
10. [1편-2] 육체와 영혼의 본능 ...
(계속) 12. 인간이 이룬 사회의 5가지 의미        그러면 이제 인간이 살아가고 있는 사회를 구체적으로 알아볼까요? (1) 종교 살아가는 원인이고 목적이며 존재의 의미입니다. 그러기에 이것은 인간 행동의 중심이지요. 인간의 행동은 자신에게 닥쳐진 어떤 여건을 앎으로 사고(思考)한 결과이기에, …
Name: 김응렬  |  Date: 2017-05-15  |  Hit: 535
9. [1편-1] 육체와 영혼의 본능 10가지, 원죄가 없는 이유..... (2)
"인간완성"이라는 종교철학서의 내용을 시리즈로 올립니다. 시리즈 1편은, 인간의 육체가 자연계(특히 우주의 핵인 지구)의 모든 성분을 고루(0)지니고 있으며, 또 그 구조까지도 그대로 닮은  자연계의 축소체(縮小體)이고 핵(核)인 것과,  또 동물이나 인간 모두에게서 공통적으로 찾아볼 수 있는 육체의 5가지 본능과,  …
Name: 김응렬  |  Date: 2017-05-15  |  Hit: 612
8. [옛글공부 1] 孟子 다시보기 ... 離婁章句下
孟子 離婁章句下에 보면 아래 글이 첫 문장으로 나옵니다.    孟子曰: 「舜生於諸馮, 遷於負夏, 卒於鳴條, 東夷之人也. 맹자님 말씀에 순은 “저풍”에서 나시고 “부하”로 옮겼다가 “명조”에서 돌아가니 동이사람이다   여기 나오는 “舜”은 물론 중국에서 추앙하는 전설적인 임금 三皇 五帝 중 五…
Name: 김응렬  |  Date: 2017-05-04  |  Hit: 574
7. [생각 6] 창조냐 진화냐 .... (3)
지능이 발달하지 못했던 원시시대에 인류는 셈을 하는 도구로 자기 손가락을 사용하였다.   왼 손에 다섯 개, 오른 손에 다섯 개. 양쪽 손의 손가락을 모두 합하면 열 개가 되므로 자연 10을 기준으로 셈하는 십진법이 발달하게 되었다.     그럼 왜 사람의 손에는 모두 열 개의 손가락이 있을까 ? 일곱 개나 아…
Name: 김응렬  |  Date: 2017-03-31  |  Hit: 566
6. [생각 5] 윤회는 존재하는가 ? (5)
인간이 지구상에서 수 십억년의 진화라는 과정을 거쳐 자연계의 모든 요소를 고루 느낄 수 있는 두뇌구조를 갖추게 되었을 때 그 인간에게 비로소 영혼이 생기게 되었다고 지난 이야기에서 밝힌 바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주실체와 개체인간사이에 어떠한 상관관계가 존재하기에 그런 원칙이 적용될 수 있는 것일까요 ? 우주…
Name: 김응렬  |  Date: 2017-02-09  |  Hit: 639
5. [생각 4] 神觀의 전환이 필요하다 (4)
A가 B를 창조하였다. 그렇다면 B의 質料는 A의 일부분이었을까 ? 아니었을까 ?   만일, B가 A의 일부분이 아니었다면 B의 질료는 A아닌 어떤 것으로부터 존재하게 된 것일까 ? A아닌 어떤 존재로부터 연유하였다면 A는 우주의 유일한 존재일 수 없다. 또, B가 A의 일부분이었다면 A가 B를 창조했다는 말은 성립하지 않는다. A의 일부…
Name: 김응렬  |  Date: 2017-01-09  |  Hit: 582
4. [생각 3] 原罪는 없다 (6)
이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생명체는 스스로의 느끼기 위한 본능에 따른 자기 발현체이며 자기 육체의 생명을 계속 유지,존속시키기 위하여는 먹어야 하고, 입어야 하고, 쉬어야 합니다. 이것이 몸을 가진 모든 생명체가 공통적으로 지닌 食,衣,住 라는 육체적 본능입니다.   또한, 느끼기 위해 존재하는 모든 생명체가 그 느낌…
Name: 김응렬  |  Date: 2016-12-19  |  Hit: 599
3. [생각 2] "나"는 영원히 존재한다 (4)
지금 이 세상에 살고 있는 ........ “나”라고 인식하며 살고 있는 이 존재는 육체의 죽음과 함께 스러져 사라지는 것일까 ? 아니면 종교에서 얘기하는 영혼이라는 것이 있어서 영원토록 저 세상에서 살 수 있는 것인가 ?   불교에서는 이 “나”라는 존재자체를 부정하는 “無我論”을 주장하였으므로 이 생명에서 저 생…
Name: 김결  |  Date: 2016-12-05  |  Hit: 602
2. 韓國傳統 神槪念의 現代的 展開와 그 意義 (5)
韓國傳統 神槪念의 現代的 展開와 그 意義 ‘한’ 의 意味와 傳統 神槪念 수 천년 겨레의 전통을 따라 내려오는 ‘한’이라는 말이 한민족에게 주는 의미는 무엇인가 ? 우리나라의 이름이면서 우리가 입는 의복, 자는 집, 먹는 음식과 일상언어 등 조상들의 생활 깊숙이 자리잡고 우리들의 일상생활에까지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16-06-22  |  Hit: 611
1. [생각 1] 존재하는 이유 (6)
[생각 1] 존재하는 이유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데카르트는 사람의 존재이유를 “생각”하는 데에서 찾았다.    그러나 가만 "생각"해 보면 그 생각이라는 것은 인간의 이성작용에 속하는 것이며, 이성기능 또한 감성이나 의지등과 더불어 인간이 가진 다양한 기능…
Name: 김결  |  Date: 2016-11-17  |  Hit: 494
1 2 3 4 5



- 맨위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