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일아카데미_삼일학 연구원
삼일학연구원 최근게시글

춘천 중도 선사유적지
[이덕일 역사TV] 세계적인 고조선 유적지에 레고…
[춘천 중도 고조선 유적지의 역사적 고찰] 3. 단…
[춘천 중도 고조선 유적지의 역사적 고찰] 2. 고…
[춘천 중도 고조선 유적지의 역사적 고찰] 1. 춘…
[반크] 레고랜드 플라스틱 장난감에 의해 어이…
정길선의 북방유라시아 유목사 산책
포르투갈의 고인돌 문화 - 카스트로 문화(Castro c…
알타이의 텡그리를 바라보며...
투르크-타타르의 Умай (우마이) 여신에 대하여
페르가나의 지형
고대 중앙아시아 유목민족들의 개념
유범식의 천지자연의 법 조선철학
3. 혁명을 사랑하는 이들을 위하여 [우리의 조선…
3. 혁명을 사랑하는 이들을 위하여
2. 뿌리없는 사상적 흐름을 경계하며
제5장 한국 사회운동 단편 - 1. 노동자운동의 기…
존엄어린 죽음 - 인신공양 / 평화의 땅에서 살육…
팔봉산의 하나민족 이야기
한국인의 하나복본 5
한국인의 하나복본 4
한국인의 하나복본 3
한국인의 하나복본 2
한국인의 하나복본 1
한길 백공종사의 배달학당
白空 한길 종사님의 천부경 강의(73)
한길 백공종사님의 천부경 강의(72)
한길 백공종사님의 천부경 강의(71)
천부경을 빛깔로...天一一 地一二 人一三 (천일…
천부경을 빛깔로...析三極無盡本(석삼극 무진본
화니의 재미있는 桓세상이야기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13] 사람이 바뀌지 않으면…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12] 잘못됨을 알면서도 바…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11] 무엇보다 홍익하는 자…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10] 아무리 지식이 많아도…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9] 애국애족은 쉽지 않다.…
김응렬의 생각없이 읽는 철학
[다석 유영모 명상록_1] 出于天來歸終天
[책속의 한 줄 - 6_2] At the Feet of the Master
[책속의 한 줄 - 6_1] At the Feet of the Master
[돌아보기 - 10] 四無量心 : 네 가지의 무한한 마…
[옛글 공부 - 11] 중용 : 우리 시대에 더욱 필요한…
이강산의 통일을 위한 한민족 역사공부방
가섭원부여기 [복애거사 범장 찬] 시조 해부루
북부여기 [복애거사 범장 찬] 북부여기하 _ 5세 …
북부여기 [복애거사 범장 찬] 북부여기상 _ 3세 …
북부여기 [복애거사 범장 찬] 북부여기상 _ 시조…
단군세기(檀君世紀) 제46세 단군보을 / 제47세 단…
조홍근의 홍익인간 7만년 역사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7대 두밀 …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7대 두밀 …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6대 추로 …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5대 솔나 …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5대 솔나 …
박현우의 가림토한글
한울(○).가를(十)
을미일 왕께서 아뢰시니
고한글 가릶톬
動動歌(동동가)
한 얼을 찾아서. [산해경 해내북경..氷夷(빙이)…
김용성의 태극한글 "신획"
[미치다]의 어원은 [밑+치다]입니다. (2)
마츄픽츄는 원주민 언어로 오래된 이라는 뜻
치우천황은 누구인가? 치우기록들!
시애틀에 대한 어원 고찰
우리말로 읽어야 뜻을 아는 영어
천부경, 삼일신고를 논하다
[참한역사신문] 마고천부경(麻姑天符經) 해독 … (3)
[참한역사신문] 천부경의 내력
[참한역사신문] 묘향산 석벽본 천부경(天符經) …
[참한역사신문] 부도지와 천부…
[조홍근의 천부역사태학원] 하늘, 하늘님이란 - …
치화경治化經 인간366사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3훈 '사랑'에 대…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3훈 '사랑'에 대…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3훈 '사랑'에 대…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3훈 '사랑'에 대…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3훈 '사랑'에 대…
성미경의 삼일사랑방
2022 배달문화원 애국가 - 독립군가
[KBS 다큐] 대장경에 담긴 '천년의 진리' -…
[배달문화원 개천이야기9-02] 3·1독립선언서(三…
[배달문화원 개천이야기9-01] 대한독립선언서(大…
[배달문화원 개천이야기 9] 대한독립선언서와 3…

kur.jpg 김응렬  생각없이 읽는 철학
 
  [책속의 한 줄 - 6_1] At the Feet of the Master
  
   작성자 : 김응렬
작성일 : 2025-01-05     조회 : 562  


Karma takes no account of custom; and the karma of cruelty is the most terrible of all. 

In India at least there can be no excuse for such customs, for the duty of harmlessness is well-known to all. The fate of the cruel must fall also upon all who go out intentionally to kill God's creatures, and call it "sport".

 

Such things as these you would not do, I know; and for the sake of the love of God, when opportunity offers, you will speak clearly against them. But there is a cruelty in speech as well as in act; and a man who says a word with the intention to wound another is guilty of this crime. That, too, you would not do; but sometimes a careless word does as much harm as a malicious one. So you must be on your guard against unintentional cruelty.

 

* 크리슈나무르티(1895 ~ 1986, Jidu Krishnamurti)

*《At the Feet of the Master》p28, 2018, Adansonia Press

 

카르마는 관습을 개의치 않으며, 잔인성에 대한 카르마는 모든 것 중에 가장 무서운 것이다. 

적어도 인도에서는 그런 것이 관습이라는 변명으로 통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해치지 말아야 한다는 의무를 모든 사람들이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의도적으로 신의 피조물들을 죽이고, 그것을 '스포츠'라고 말하는 자들에게 잔인한 운명은 반드시 찾아온다.

 

나는 여러분이 그런 나쁜 일을 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안다. 그리고 신의 사랑을 위하여 기회가 오면, 여러분은 그런 짓을 하는 사람들이 못하도록 분명히 말할 것이다. 그러나 잔인함은 행동 못지않게 말속에도 있다. 그리고 다른 사람에게 상처를 줄 의도로 말하는 사람은 같은 죄를 짓는 것이다.

여러분은 그렇게 하지 않겠지만, 때로는 부주의한 말 한 마디가 악의에 찬 말 한마디만큼이나 해를 끼친다. 그러므로 알지 못하는 사이에 행해지는 잔인함에 대해서 주의하지 않으면 안 된다.

 

* 번역문 :《운명의 바람 소리를 들어라》제2장 "스승의 발아래서" p220, 2017년, 책읽는귀족, 크리슈나무르티 지음, 조선우 펴냄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이 책은 신지학의 3대 기본서 중의 하나이며 글을 쓴 이는 크리슈나무르티입니다. 

그는 1909년 신지학회에 발견되어 미래 인류의 영적 스승이 되기 위한 수업을 받았습니다.

 

그의 나이 15세 무렵인 1910년, 스승이 가르쳐주신 구도자의 마음자세 그리고 수행자가 

갖춰야 할 네 가지 자질에 대하여 기록한 것이 이 소책자입니다.

 

그가 꼽은 네 가지 자질은 "분별력, 무욕, 선행, 사랑"이며 위 인용문은 "사랑"을 이야기하는 

네 번째 가르침 속에 실려 있습니다.

 

그는 육체를 가축 또는 우리가 타고 있는 말(馬)이라고 표현하면서 육체가 원하는 욕망과 

유혹에 흔들리지 않도록 자신의 생각과 언행 모두를 조심하고 경계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특히 말로 인해 발생하는 야만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있는데, 말이 많아지면 교만해지게 되고 부주의하게 내뱉는 불필요한 말들로 인해 서로가 상처를 입어 카르마의 굴레에 갇히게되므로 최대한 "침묵"을 지키라고 얘기합니다.

 

요약하면,

● 말을 적게 하라.

● 말하기 전에 생각하는 습관을 기르라.

● 말하기보다는 경청하는 습관을 길러라.

● 침묵을 지켜라.

 
 
TOTAL 91
7. [생각 6] 창조냐 진화냐 .... (3)
지능이 발달하지 못했던 원시시대에 인류는 셈을 하는 도구로 자기 손가락을 사용하였다.   왼 손에 다섯 개, 오른 손에 다섯 개. 양쪽 손의 손가락을 모두 합하면 열 개가 되므로 자연 10을 기준으로 셈하는 십진법이 발달하게 되었다.     그럼 왜 사람의 손에는 모두 열 개의 손가락이 있을까 ? 일곱 개나 아…
Name: 김응렬  |  Date: 2017-03-31  |  Hit: 485
6. [생각 5] 윤회는 존재하는가 ? (5)
인간이 지구상에서 수 십억년의 진화라는 과정을 거쳐 자연계의 모든 요소를 고루 느낄 수 있는 두뇌구조를 갖추게 되었을 때 그 인간에게 비로소 영혼이 생기게 되었다고 지난 이야기에서 밝힌 바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주실체와 개체인간사이에 어떠한 상관관계가 존재하기에 그런 원칙이 적용될 수 있는 것일까요 ? 우주…
Name: 김응렬  |  Date: 2017-02-09  |  Hit: 580
5. [생각 4] 神觀의 전환이 필요하다 (4)
A가 B를 창조하였다. 그렇다면 B의 質料는 A의 일부분이었을까 ? 아니었을까 ?   만일, B가 A의 일부분이 아니었다면 B의 질료는 A아닌 어떤 것으로부터 존재하게 된 것일까 ? A아닌 어떤 존재로부터 연유하였다면 A는 우주의 유일한 존재일 수 없다. 또, B가 A의 일부분이었다면 A가 B를 창조했다는 말은 성립하지 않는다. A의 일부…
Name: 김응렬  |  Date: 2017-01-09  |  Hit: 513
4. [생각 3] 原罪는 없다 (6)
이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생명체는 스스로의 느끼기 위한 본능에 따른 자기 발현체이며 자기 육체의 생명을 계속 유지,존속시키기 위하여는 먹어야 하고, 입어야 하고, 쉬어야 합니다. 이것이 몸을 가진 모든 생명체가 공통적으로 지닌 食,衣,住 라는 육체적 본능입니다.   또한, 느끼기 위해 존재하는 모든 생명체가 그 느낌…
Name: 김응렬  |  Date: 2016-12-19  |  Hit: 534
3. [생각 2] "나"는 영원히 존재한다 (4)
지금 이 세상에 살고 있는 ........ “나”라고 인식하며 살고 있는 이 존재는 육체의 죽음과 함께 스러져 사라지는 것일까 ? 아니면 종교에서 얘기하는 영혼이라는 것이 있어서 영원토록 저 세상에서 살 수 있는 것인가 ?   불교에서는 이 “나”라는 존재자체를 부정하는 “無我論”을 주장하였으므로 이 생명에서 저 생…
Name: 김결  |  Date: 2016-12-05  |  Hit: 515
2. 韓國傳統 神槪念의 現代的 展開와 그 意義 (5)
韓國傳統 神槪念의 現代的 展開와 그 意義 ‘한’ 의 意味와 傳統 神槪念 수 천년 겨레의 전통을 따라 내려오는 ‘한’이라는 말이 한민족에게 주는 의미는 무엇인가 ? 우리나라의 이름이면서 우리가 입는 의복, 자는 집, 먹는 음식과 일상언어 등 조상들의 생활 깊숙이 자리잡고 우리들의 일상생활에까지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16-06-22  |  Hit: 552
1. [생각 1] 존재하는 이유 (6)
[생각 1] 존재하는 이유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데카르트는 사람의 존재이유를 “생각”하는 데에서 찾았다.    그러나 가만 "생각"해 보면 그 생각이라는 것은 인간의 이성작용에 속하는 것이며, 이성기능 또한 감성이나 의지등과 더불어 인간이 가진 다양한 기능…
Name: 김결  |  Date: 2016-11-17  |  Hit: 436
1 2 3 4 5



- 맨위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