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일아카데미_삼일학 연구원
삼일학연구원 최근게시글

춘천 중도 선사유적지
[이덕일 역사TV] 세계적인 고조선 유적지에 레고…
[춘천 중도 고조선 유적지의 역사적 고찰] 3. 단…
[춘천 중도 고조선 유적지의 역사적 고찰] 2. 고…
[춘천 중도 고조선 유적지의 역사적 고찰] 1. 춘…
[반크] 레고랜드 플라스틱 장난감에 의해 어이…
정길선의 북방유라시아 유목사 산책
포르투갈의 고인돌 문화 - 카스트로 문화(Castro c…
알타이의 텡그리를 바라보며...
투르크-타타르의 Умай (우마이) 여신에 대하여
페르가나의 지형
고대 중앙아시아 유목민족들의 개념
유범식의 천지자연의 법 조선철학
3. 혁명을 사랑하는 이들을 위하여 [우리의 조선…
3. 혁명을 사랑하는 이들을 위하여
2. 뿌리없는 사상적 흐름을 경계하며
제5장 한국 사회운동 단편 - 1. 노동자운동의 기…
존엄어린 죽음 - 인신공양 / 평화의 땅에서 살육…
팔봉산의 하나민족 이야기
한국인의 하나복본 5
한국인의 하나복본 4
한국인의 하나복본 3
한국인의 하나복본 2
한국인의 하나복본 1
한길 백공종사의 배달학당
白空 한길 종사님의 천부경 강의(73)
한길 백공종사님의 천부경 강의(72)
한길 백공종사님의 천부경 강의(71)
천부경을 빛깔로...天一一 地一二 人一三 (천일…
천부경을 빛깔로...析三極無盡本(석삼극 무진본
화니의 재미있는 桓세상이야기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13] 사람이 바뀌지 않으면…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12] 잘못됨을 알면서도 바…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11] 무엇보다 홍익하는 자…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10] 아무리 지식이 많아도…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9] 애국애족은 쉽지 않다.…
김응렬의 생각없이 읽는 철학
[다석 유영모 명상록_1] 出于天來歸終天
[책속의 한 줄 - 6_2] At the Feet of the Master
[책속의 한 줄 - 6_1] At the Feet of the Master
[돌아보기 - 10] 四無量心 : 네 가지의 무한한 마…
[옛글 공부 - 11] 중용 : 우리 시대에 더욱 필요한…
이강산의 통일을 위한 한민족 역사공부방
가섭원부여기 [복애거사 범장 찬] 시조 해부루
북부여기 [복애거사 범장 찬] 북부여기하 _ 5세 …
북부여기 [복애거사 범장 찬] 북부여기상 _ 3세 …
북부여기 [복애거사 범장 찬] 북부여기상 _ 시조…
단군세기(檀君世紀) 제46세 단군보을 / 제47세 단…
조홍근의 홍익인간 7만년 역사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7대 두밀 …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7대 두밀 …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6대 추로 …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5대 솔나 …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5대 솔나 …
박현우의 가림토한글
한울(○).가를(十)
을미일 왕께서 아뢰시니
고한글 가릶톬
動動歌(동동가)
한 얼을 찾아서. [산해경 해내북경..氷夷(빙이)…
김용성의 태극한글 "신획"
[미치다]의 어원은 [밑+치다]입니다. (2)
마츄픽츄는 원주민 언어로 오래된 이라는 뜻
치우천황은 누구인가? 치우기록들!
시애틀에 대한 어원 고찰
우리말로 읽어야 뜻을 아는 영어
천부경, 삼일신고를 논하다
[참한역사신문] 마고천부경(麻姑天符經) 해독 … (3)
[참한역사신문] 천부경의 내력
[참한역사신문] 묘향산 석벽본 천부경(天符經) …
[참한역사신문] 부도지와 천부…
[조홍근의 천부역사태학원] 하늘, 하늘님이란 - …
치화경治化經 인간366사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3훈 '사랑'에 대…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3훈 '사랑'에 대…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3훈 '사랑'에 대…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3훈 '사랑'에 대…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3훈 '사랑'에 대…
성미경의 삼일사랑방
2022 배달문화원 애국가 - 독립군가
[KBS 다큐] 대장경에 담긴 '천년의 진리' -…
[배달문화원 개천이야기9-02] 3·1독립선언서(三…
[배달문화원 개천이야기9-01] 대한독립선언서(大…
[배달문화원 개천이야기 9] 대한독립선언서와 3…

kur.jpg 김응렬  생각없이 읽는 철학
 
  [돌아보기 - 10] 四無量心 : 네 가지의 무한한 마음
  
   작성자 : 김응렬
작성일 : 2024-12-25     조회 : 559  


<카아샤파>야,

자(慈)를 닦으면 탐욕의 마음을 끊고,

비(悲)를 닦으면 성내는 마음을 끊고,

희(喜)를 닦으면 고통을 끊고,

사(捨)를 닦으면 탐욕과 성내는 마음과 차별(差別)을 보는 마음이 없어진다. (p836)

 

<카아샤파>야,

「보살」은 모든 중생을 위하여 이롭고 즐거움이 되지 않는 일은 없애버리고 만다. 

이것이 대자(大慈)다.

또「보살」은 모든 중생을 위하여 이로움과 즐거움을 준다. 이것이 대비(大悲)다.

모든 중생을 대하여 마음의 환희를 내는 것은 대희(大喜)다.

그리고 일체의 법을 볼 때 평등히 하여 간격을 두지 않고, 나의 즐거움을 버리어 

다른 사람에게 준다. 이것이 대사(大捨)다.

이 네 가지의 무량심(無量心)은 모든 선행의 근본이 되는 것이다. (p837)

 

* 붓다(Buddha, 석가모니, BCE 563 ~ 483)

*《우리말 팔만대장경》법화 · 열반부, 1984년, (주)국민서관, 

대한불교청년회 성전편찬위원회 편역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2인연과 4성제, 8정도만 알아서는 불교를 제대로 공부한 것이 아닙니다. 

석가모니가 깨달은 이 내용은 見道와 修道 두가지 중 견도에 속할 뿐입니다.

 

身見, 邊見, 邪見, 見取見, 戒禁取見 등 五利使에 해당하는 見惑의 번뇌를 깨치는 것 

이것이 견도이며 貪, 瞋, 痴, 慢, 疑 등 五鈍使에 해당하는 修惑의 번뇌를 깨치는 것 

이것이 수도입니다.

 

석가모니는 수 많은 전생을 겪으면서 오둔사의 번뇌를 이미 해결하였고, 

이 기초위에서 오리사의 번뇌를 깨치는 견도수행을 통하여 견성에 이른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수혹조차도 다스리지 못한 채, 교리와 경전 공부에만 매달리고 있습니다. 

탐욕과 분노, 교만 등을 다스리지도 못하면서 지적인 공부에만 몰두하는 것은 분명 

잘못된 방법입니다.

 

貪, 瞋, 痴, 慢, 疑.

사람들마다 이 독기를 품어내며 어떻게 하면 이득을 볼까, 손해를 보지 않을까 

노심초사하며 사는 것이 우리네 현실입니다.

 

우리 사회에 가득찬 이 죽음의 에너지를 생명의 에너지로 다시 바꾸고, 

견성으로 가는 기초를 튼튼히 하기 위해서는 4무량심을 제대로 실천해야 합니다.

 

우리 시대의 언어로 다시 해석해 본다면,

慈心은 사랑과 배려 실천하기,

悲心은 공감과 이해 실천하기,

喜心은 모든 이의 행복과 깨달음 염원하기,

捨心은 자기를 낮춰 평등과 무차별 실천하기입니다.

 

時時, 處處, 慈悲喜捨.

만나는 인연이 있을 때마다

처하는 상황과 장소에 따라

자(慈), 비(悲), 희(喜), 사(捨)를 염원하는 것.

 

지금 우리들에게 꼭 필요한 선한 생각이자 생명을 살리는 에너지입니다.

 
 
TOTAL 91
7. [생각 6] 창조냐 진화냐 .... (3)
지능이 발달하지 못했던 원시시대에 인류는 셈을 하는 도구로 자기 손가락을 사용하였다.   왼 손에 다섯 개, 오른 손에 다섯 개. 양쪽 손의 손가락을 모두 합하면 열 개가 되므로 자연 10을 기준으로 셈하는 십진법이 발달하게 되었다.     그럼 왜 사람의 손에는 모두 열 개의 손가락이 있을까 ? 일곱 개나 아…
Name: 김응렬  |  Date: 2017-03-31  |  Hit: 485
6. [생각 5] 윤회는 존재하는가 ? (5)
인간이 지구상에서 수 십억년의 진화라는 과정을 거쳐 자연계의 모든 요소를 고루 느낄 수 있는 두뇌구조를 갖추게 되었을 때 그 인간에게 비로소 영혼이 생기게 되었다고 지난 이야기에서 밝힌 바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주실체와 개체인간사이에 어떠한 상관관계가 존재하기에 그런 원칙이 적용될 수 있는 것일까요 ? 우주…
Name: 김응렬  |  Date: 2017-02-09  |  Hit: 580
5. [생각 4] 神觀의 전환이 필요하다 (4)
A가 B를 창조하였다. 그렇다면 B의 質料는 A의 일부분이었을까 ? 아니었을까 ?   만일, B가 A의 일부분이 아니었다면 B의 질료는 A아닌 어떤 것으로부터 존재하게 된 것일까 ? A아닌 어떤 존재로부터 연유하였다면 A는 우주의 유일한 존재일 수 없다. 또, B가 A의 일부분이었다면 A가 B를 창조했다는 말은 성립하지 않는다. A의 일부…
Name: 김응렬  |  Date: 2017-01-09  |  Hit: 513
4. [생각 3] 原罪는 없다 (6)
이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생명체는 스스로의 느끼기 위한 본능에 따른 자기 발현체이며 자기 육체의 생명을 계속 유지,존속시키기 위하여는 먹어야 하고, 입어야 하고, 쉬어야 합니다. 이것이 몸을 가진 모든 생명체가 공통적으로 지닌 食,衣,住 라는 육체적 본능입니다.   또한, 느끼기 위해 존재하는 모든 생명체가 그 느낌…
Name: 김응렬  |  Date: 2016-12-19  |  Hit: 534
3. [생각 2] "나"는 영원히 존재한다 (4)
지금 이 세상에 살고 있는 ........ “나”라고 인식하며 살고 있는 이 존재는 육체의 죽음과 함께 스러져 사라지는 것일까 ? 아니면 종교에서 얘기하는 영혼이라는 것이 있어서 영원토록 저 세상에서 살 수 있는 것인가 ?   불교에서는 이 “나”라는 존재자체를 부정하는 “無我論”을 주장하였으므로 이 생명에서 저 생…
Name: 김결  |  Date: 2016-12-05  |  Hit: 515
2. 韓國傳統 神槪念의 現代的 展開와 그 意義 (5)
韓國傳統 神槪念의 現代的 展開와 그 意義 ‘한’ 의 意味와 傳統 神槪念 수 천년 겨레의 전통을 따라 내려오는 ‘한’이라는 말이 한민족에게 주는 의미는 무엇인가 ? 우리나라의 이름이면서 우리가 입는 의복, 자는 집, 먹는 음식과 일상언어 등 조상들의 생활 깊숙이 자리잡고 우리들의 일상생활에까지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16-06-22  |  Hit: 552
1. [생각 1] 존재하는 이유 (6)
[생각 1] 존재하는 이유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데카르트는 사람의 존재이유를 “생각”하는 데에서 찾았다.    그러나 가만 "생각"해 보면 그 생각이라는 것은 인간의 이성작용에 속하는 것이며, 이성기능 또한 감성이나 의지등과 더불어 인간이 가진 다양한 기능…
Name: 김결  |  Date: 2016-11-17  |  Hit: 436
1 2 3 4 5



- 맨위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