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일아카데미_삼일학 연구원
삼일학연구원 최근게시글

춘천 중도 선사유적지
[이덕일 역사TV] 세계적인 고조선 유적지에 레고…
[춘천 중도 고조선 유적지의 역사적 고찰] 3. 단…
[춘천 중도 고조선 유적지의 역사적 고찰] 2. 고…
[춘천 중도 고조선 유적지의 역사적 고찰] 1. 춘…
[반크] 레고랜드 플라스틱 장난감에 의해 어이…
정길선의 북방유라시아 유목사 산책
포르투갈의 고인돌 문화 - 카스트로 문화(Castro c…
알타이의 텡그리를 바라보며...
투르크-타타르의 Умай (우마이) 여신에 대하여
페르가나의 지형
고대 중앙아시아 유목민족들의 개념
유범식의 천지자연의 법 조선철학
3. 혁명을 사랑하는 이들을 위하여 [우리의 조선…
3. 혁명을 사랑하는 이들을 위하여
2. 뿌리없는 사상적 흐름을 경계하며
제5장 한국 사회운동 단편 - 1. 노동자운동의 기…
존엄어린 죽음 - 인신공양 / 평화의 땅에서 살육…
팔봉산의 하나민족 이야기
한국인의 하나복본 5
한국인의 하나복본 4
한국인의 하나복본 3
한국인의 하나복본 2
한국인의 하나복본 1
한길 백공종사의 배달학당
白空 한길 종사님의 천부경 강의(73)
한길 백공종사님의 천부경 강의(72)
한길 백공종사님의 천부경 강의(71)
천부경을 빛깔로...天一一 地一二 人一三 (천일…
천부경을 빛깔로...析三極無盡本(석삼극 무진본
화니의 재미있는 桓세상이야기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13] 사람이 바뀌지 않으면…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12] 잘못됨을 알면서도 바…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11] 무엇보다 홍익하는 자…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10] 아무리 지식이 많아도…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9] 애국애족은 쉽지 않다.…
김응렬의 생각없이 읽는 철학
[다석 유영모 명상록_1] 出于天來歸終天
[책속의 한 줄 - 6_2] At the Feet of the Master
[책속의 한 줄 - 6_1] At the Feet of the Master
[돌아보기 - 10] 四無量心 : 네 가지의 무한한 마…
[옛글 공부 - 11] 중용 : 우리 시대에 더욱 필요한…
이강산의 통일을 위한 한민족 역사공부방
가섭원부여기 [복애거사 범장 찬] 시조 해부루
북부여기 [복애거사 범장 찬] 북부여기하 _ 5세 …
북부여기 [복애거사 범장 찬] 북부여기상 _ 3세 …
북부여기 [복애거사 범장 찬] 북부여기상 _ 시조…
단군세기(檀君世紀) 제46세 단군보을 / 제47세 단…
조홍근의 홍익인간 7만년 역사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7대 두밀 …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7대 두밀 …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6대 추로 …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5대 솔나 …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5대 솔나 …
박현우의 가림토한글
한울(○).가를(十)
을미일 왕께서 아뢰시니
고한글 가릶톬
動動歌(동동가)
한 얼을 찾아서. [산해경 해내북경..氷夷(빙이)…
김용성의 태극한글 "신획"
[미치다]의 어원은 [밑+치다]입니다. (2)
마츄픽츄는 원주민 언어로 오래된 이라는 뜻
치우천황은 누구인가? 치우기록들!
시애틀에 대한 어원 고찰
우리말로 읽어야 뜻을 아는 영어
천부경, 삼일신고를 논하다
[참한역사신문] 마고천부경(麻姑天符經) 해독 … (3)
[참한역사신문] 천부경의 내력
[참한역사신문] 묘향산 석벽본 천부경(天符經) …
[참한역사신문] 부도지와 천부…
[조홍근의 천부역사태학원] 하늘, 하늘님이란 - …
치화경治化經 인간366사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3훈 '사랑'에 대…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3훈 '사랑'에 대…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3훈 '사랑'에 대…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3훈 '사랑'에 대…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3훈 '사랑'에 대…
성미경의 삼일사랑방
2022 배달문화원 애국가 - 독립군가
[KBS 다큐] 대장경에 담긴 '천년의 진리' -…
[배달문화원 개천이야기9-02] 3·1독립선언서(三…
[배달문화원 개천이야기9-01] 대한독립선언서(大…
[배달문화원 개천이야기 9] 대한독립선언서와 3…

kur.jpg 김응렬  생각없이 읽는 철학
 
  [6편-2] 세계 각 종교의 의미
  
   작성자 : 김응렬
작성일 : 2018-09-02     조회 : 660  

3. 석가모니의 해탈을 이해 못한 제자

한편,

석가모니가 진리를 깨달을 당시에는 육체가 쇠약해져야만 그에 반비례하여 정신력이 강해진다고 믿었지요.

지금도 이와 같은 이론은 그 지역에서 상식으로 통하고 있어요.

석가모니도 진리를 깨닫기 위해 악의악식(惡衣惡食), 단식 등을 했어요.(개체 욕망의 부정을 행하는 과정)

그러나 앎을 깨닫고 나서는 "있으면 있는대로, 없으면 없는대로"의 생활을 했지요.

그러자 석가모니의 행적을 이해 못한 한 제자가 어느날

"선생님, 깨달음의 길을 가기 위해서는 악의악식이 상식인데 어째서 호의호식을 하십니까?"하고 물었지요.

이에 대해 석가모니는

"내가 호의호식하는 것이 나와 무슨 관계가 있느냐?"라고 대답했대요.

즉, 내가 먹고 입는 것은 욕심이 있어 집착하기 때문이 아니라,

누가 가져다주니 그저 생겨서 입고 먹는 것인데(미련과 집착이 없는 상태), 그것이 무슨 상관이냐는 뜻이지요.

그 제자요? 떠나갔다는 군요….. 결국 이해하지 못한 거죠.

 

4. 조금 더 깊이 들어가 본 불교 사상

그럼 이번에는, 불교사상의 다른 면을 살펴볼까요?

우주엔 '대아=범천=우주혼=우주령'인 심본(心本)이 있고,

대아(大我)에서 소아(小我)인 생명체로 갈려 나타난 것이 곧 갖가지 생물이라는 거죠.

그러므로 모든 생물은 대아(전체성=하느님)의 일부인 소아(개체성=생물들)이기에 나와 같은 것이라는 생각이에요.

또, 소아인 나의 뜻(목적)에 따라 일어나는 움직임을 '업(業)'이라 했으니,

즉, 대아의 쪼가리는 소아이고, 소아의 쪼가리는 업이라는 것이죠,

그래서 같은 소아인 다른 생물들을 내가 해치는 것은

상대성(상응부경전 12장 20절 연기緣起)으로 인하여 인과응보를 받는다는 것이죠.

그리고 생명체는 죽으면 다시 대아로 돌아가야 하는데

업(개체 미련=목적)이 있으면 업때문에 다시 소아(인간=개체영)로 태어나며,

그 결과 다시 태어날 때에는 업에 의한 인과응보로 환생한다는 윤회설입니다.

이렇듯 인간이 태어나고 늙고 병들고 죽는 것(四苦=생노병사)은 대아를 떠나 소아로 흩어졌기 때문이니,

한시 바삐 업(목적=집착)을 털어버리고(四諦=고,집,멸,도) 대아(하느님)로 되돌아 가자고,

참선이나 염불을 개발한 거예요.

그렇게 하여,

이렇게 멸을 찾는 것을 '멸도(滅道)'라 하고,

멸은 개체의 지나친 모든 욕망을 잊은 것인즉,

고요하고 편안한 것이라 하여 '적멸(寂滅)'이라고도 한답니다.

적멸은'열반(涅槃)'이라고도 하는데, 열반은 적멸에 든 것이라 하여 '입적(入寂)'이라고도 하지요.

불교 원어에서 열반의 의미는"불이 꺼진 상태" 즉, 개인의 지나친 욕망이 가라앉은 상태를 나타낸 것인데,

이것은 스토아학파의 철학자들이 인간의 이상적인 경지라고 생각했던

'아파테이아'의 관념과도 같습니다.

죽음을 열반으로 보기 시작한 것은 후기 불교사상이에요.

불교에서 속세를 '사바세계'라고 하는데, "사바"란 산스크리트어로 "참고 견디다"는 뜻입니다.

이렇게, 생활 속에서 열반에 들기 위해서는 팔정도를 이루어야 한다고 했어요.

(잡아함경 15장 7절 전법륜, 상응부경전 56장 11절 여래소설, 38장 1절 열반)

1. 정견 = 바른 견해

2. 정사 = 바른 판단

3. 정어 = 바른 말

4. 정업 = 바른 행위

5. 정명 = 바른 생활

6. 정정진 = 바른 노력

7. 정념 = 바른 생각

8. 정정 = 바른 명상

이 팔정도란 중도론이니,

모든 면에 있어서 지나치지 않게 중간 정도로 바른생활(정상=0)을 유지하라는 것이에요.

소크라테스의 "너 자신을 알라" 도 결국은 같은 뜻이죠.

플라우투스 역시 "만사에 중용이 으뜸이다. 모든 지나침은 인류에게 고통을 가져온다"고 했어요.

이러한 불교는 훗날 승려의 출가문제가 시비되면서 두 가지로 나뉘었으니,

소승불교와 대승불교가 바로 그것이지요.

1). 소승불교 : 동아시아 남쪽의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태국 등에 퍼져 있으며,

누구든 부처까지 되기에는 너무나 보잘 것 없는, 흘러 다니는 수레에 불과하다고 주장합니다.

전도방법도 속된 인연을 끊고 석가의 가르침에 따르며,

또한 스스로 깨닫는 것에 일념한다고 해요. 살생은 물론, 결혼과 육식도 금하지요.

2). 대승불교 : 동아시아 북쪽의 중국, 한국, 일본 등에 퍼져 있으며

열반을 그저 마음이 편안한 상태의 유여(有餘)열반과 마음이 편안한 상태를 지나 고요하기까지 한 무여(無餘)열반으로 나누고,

또, 나의 본래는 고요와 안정까지도 초월한 우주의 근본 대아(大我)라는 본래자성(本來自性) 열반과 대아(大我)라는 전체성(0)으로서 우주에 충만하기에 ‘있는 곳과 없는 곳이 없다’는 무주처(無主處) 열반으로 나눕니다.

전도방법도, 위로는 진리를 구하고 아래로는 중생에 파묻혀 가르치며, 믿고 실천하여 세상을 밝히는 것이죠.

결국 불교는,

대아(大我=하느님)라는 영계핵의 존재는 깨달았으나

"우주의 존재 이유가 영계핵(大我)의 느끼기 위한 목적에 있다는 것을 몰랐던 거에요."

이와 같이 우주의 상태만 파악하고, 삶의 목적인 존재의미를 몰랐기에 석가모니는 다 깨닫고 난 후 목적관이 없어 허탈함을 느끼고는

"참으로 존경할 데가 없이 사는 것은 괴롭다. 나는 어떤 사문이나 또는 브라만을 존경하고 의지하면서 살아야 되는 것일까?" 하고 고민했다는 군요. (상응부경전 6장 2절, 잡아함경 44장 11절 ‘존중편’)

우주의 원칙상 불완전한 피조물인 인간이 완전한 조물주인 하느님을 의지하며 존경하고 살아야 하는데,

의지할 데가 없으니 허탈감(원칙을 벗어난 괴로운 느낌)을 느끼게 된 거죠.

 
 
TOTAL 91
49. [옛글 공부 - 6] 能近取臂 可謂人之方也已
  論語 雍也篇 마지막에 나오는 이 句節은, ''仁''을 主題로 子貢과 孔子가 나눈 問答을 記錄으로 남긴 것입니다.善政을 베풀어 百姓들의 삶을 豊足하게 하는 治者가 있다면 그를 ''仁''하다 할 수 있겠냐고 子貢이 묻습니다.子貢曰: 「如有博施於民而能濟衆, 何如? 可謂仁乎? 」이에 대해 孔子는 ''仁''한 정도가 아니라 ''聖''人…
Name: 김응렬  |  Date: 2020-01-28  |  Hit: 1067
48. [多夕日誌 공부 - 1] 무엇이 되어야 할까 ?
 1957. 2. 15. 금 24446일째 제목 : 우리는 엇지 돼가는 길 ? (되는 길인가)感覺으로만 살러 들지 말라.感覺으로 사는 것은 버레니라.物色으로만 살러 들지 말라.物色으로 사는 것은 나븨 벌이니라.自己[自已]로 살러라.自己로 사는 것은 맘이니라.太空[大公]으로 살러라.太空으로 사는 것은 神이니라.人生은 神되는 길이니라.ㅡㅡ…
Name: 김응렬  |  Date: 2020-01-18  |  Hit: 1012
47. [柳永模의 옛글 풀이 - 1] 天生德於予
“하늘이 나에게 속알을 낳았다” 天生德於予   論語 述而篇에 나오는 글입니다.   여기서 德이라는 한자어로 표현된 “속알”은 변치않는 인간의 영원한 속성을 뜻합니다.   불교에서 見性成佛이라고 할 때의 性이며 유교에서 天命之謂性이라&nbs…
Name: 김응렬  |  Date: 2019-12-13  |  Hit: 877
46. [옛글 공부 - 5] 擧直錯諸枉, 則民服
論語 爲政篇의 글입니다. 어찌하여야 백성이 나를 따르겠느냐고 魯나라 哀公이 물으니 孔子가 대답합니다.   "곧은 사람을 등용하여 굽은 이들의 위에 놓으면, 백성이 따를 것이고.... 굽은 사람을 등용하여 곧은 이들의 위에 놓으면, 백성이 따르지 않을 것입니다."   정직하고 깨끗한 사람을 발탁하여 그에 상응하는…
Name: 김응렬  |  Date: 2019-10-24  |  Hit: 1049
45. [6편-6] 세계 각 종교의 의미
(4) 콥트교. 처음 들어 보시는 분도 많을 거에요? 이집트에 약 600만 명의 신자를 근거로 하여, 세계적으로는 약 2,200만 명의 신도를 가지고 있는 기독교의 한 종파에요. 이 콥트교는 다른 기독교와는 달리 기원후 42년, 예수를 추종하던 제자 중 한 명이 창설한 독특한 기독교로서 현재 이디오피아의 국교로 되어 있지요. 지금까…
Name: 김응렬  |  Date: 2019-09-11  |  Hit: 898
44. [돌아보기 3] 에베소서 4장 6절 (2)
지금의 터키 서쪽 ''에베소''지역의 교회에 바울(CE 5? ~ 67)이 보낸 편지가 ''에베소書''(Ephesians)입니다.   이 바울의 가르침을 중심으로 교의체계를 형성해 온 基督敎가 예수의 원 가르침을 충실하게 전하고 있는가 하는 문제, 또&nb…
Name: 김응렬  |  Date: 2019-08-02  |  Hit: 1054
43. [6편-5] 세계 각 종교의 의미
(2) 개신교에 대해 알아볼께요. 로마카톨릭이 중세에 몹시 부패하니, 루터와 칼벵을 중심한 종교개혁 운동이 일어나 갈라져 나간 것이 개신교이지요. 개신교는 후에 영, 혼, 육의 영생론을 긍정하는 쪽과 부정하는 쪽으로 나뉘었어요. 1) 영,혼,육을 긍정하는 쪽 영, 혼, 육을 긍정하는 쪽을 먼저 볼까요? 이들의 주장은 로마카톨…
Name: 김응렬  |  Date: 2019-07-12  |  Hit: 1009
42. [6편-4] 세계 각 종교의 의미
2. 그리스도 교 이번엔 두 번째로, 유일신사상 중 가장 널리 알려진 기독교에 대하여 알아볼께요. 예수 출현 이전엔 유대교가 있었고, 그 유대교에서는 하느님이 약속하신 구원자(메시야)를 기다리고 있었어요. 그러나, 유대인들은 예수를 가리켜 '바알불신이 씌운 미친 자'라며 죽음으로 몰아 넣었지요. 그러나 예수의 부활을 계…
Name: 김응렬  |  Date: 2019-07-12  |  Hit: 1194
41. [돌아보기 2] 인간완성의 길이란 ? (1)
옳고 그름은  우리네 생활주변에 언제나 존재합니다. 다른 사람과의 이해관계에 처하거나, 스스로 선택해야 할 다양한 여건이 닥치거나 원칙의 흐름에 적용해 보면 어떤 것, 어떤 길을 선택해야 하는지 正常적인 자명한 길이 보입니다. …
Name: 김응렬  |  Date: 2019-03-13  |  Hit: 673
40. [1-2] 多夕 柳永模의 生涯와 思想 (思想) (5)
(사상편과 나가기)
Name: 김응렬  |  Date: 2019-03-13  |  Hit: 1052
39. [1-1] 多夕 柳永模의 生涯와 思想 (生涯) (1)
모임에서 강의했던 자료입니다. 유영모의 神觀, 人間觀이 이곳 삼일아카데미에 설명드리는 내용과 관련이 있어 참고자료로 올려드립니다. (들어가기와 생애편)    
Name: 김응렬  |  Date: 2019-03-13  |  Hit: 758
38. [6편-3] 세계 각 종교의 의미
(2) 힌두교 사상 두번째로 힌두교를 볼까요? 힌두교는 새로 출현한 불교사상에 여러가지 옛날사상이 뒤섞여, 보다 다변화되면서 인도인의 전통과 사회관습에 맞게 발전된 사상이에요. 힌두교의 '요가'라는 뜻은 '신(神)과의 합일(合一)'이라는 의미로, 불타, 또 그리스도의 상태를 뜻하기도 하지요. 지금까지 종교역사를 보면, 힌…
Name: 김응렬  |  Date: 2018-12-03  |  Hit: 544
37. [6편-2] 세계 각 종교의 의미
3. 석가모니의 해탈을 이해 못한 제자 한편, 석가모니가 진리를 깨달을 당시에는 육체가 쇠약해져야만 그에 반비례하여 정신력이 강해진다고 믿었지요. 지금도 이와 같은 이론은 그 지역에서 상식으로 통하고 있어요. 석가모니도 진리를 깨닫기 위해 악의악식(惡衣惡食), 단식 등을 했어요.(개체 욕망의 부정을 행하는 과정) …
Name: 김응렬  |  Date: 2018-09-02  |  Hit: 661
36. [옛글 공부 - 4] 見利思義 見危授命 ....
안중근 義士(1879~1910)의 친필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친근감을 느끼고 있는 글인데 원래 論語 憲問篇에 실려 있습니다.   완성된 인간(成人)은 어떤 사람이냐고 子路가 孔子에게 묻자 공자는 먼저 옛 성인의 조건을 나열합니다.   장무중의 지혜로움, 맹공작의 욕심없음, 변장자의 용기, 염구의 藝에…
Name: 김응렬  |  Date: 2018-05-29  |  Hit: 755
35. [6편-1] 세계 각 종교의 의미
시리즈 6편에서는 세계의 종교 중 유일신(唯一神)사상으로 대표되는 조로아스터교, 기독교, 이슬람교와, 다신(多神)사상으로 대표되는 힌두교, 불교에 대한 이론 및 그 존재 의미가 밝혀져 있습니다.     유일신 사상은 목적(꽃)을 중요시 한 온상목으로, 다신 사상은 생명력을 중요시한 야생목으로 비유하여, 두 가…
Name: 김응렬  |  Date: 2018-05-03  |  Hit: 724
34. [5편-4] 성령, 악령,천사의 정체, 인류 앎의 성장역사
(8) 부활 전 예수, 앎의 한계 예수도 부활 전에는 모르고 있었던 것이 많아요. 마태오 10장 5~6절에 보면, 예수는 제자들을 전도 보낼 때 "이방인이나 사마리아인이 아닌, 이스라엘 민족에게 가라."고 했으며 마태오 15장 21~26절, 마르꼬 7장 26~27절에도 예수가 두로와 시돈 지방에 갔을 때, 가나안 여자가 와서 마귀 들린 자기 딸을 …
Name: 김응렬  |  Date: 2018-04-02  |  Hit: 661
33. [5편-3] 성령, 악령, 천사의 정체....인류 앎의 성장역사
(6) 반드시 천사를 통해 전하는 하느님의 뜻 성서에 보면, 하느님이 인간에게 뜻을 전달하실 때는 반드시 천사를 거치셨음을 알 수 있어요. 사도행전 7장 53절에 보면 순교한 '스데파노'가 "당신들은 천사들에게서 하느님의 율법을 받고도 그 규례를 지키지 않았습니다."라고 했고 사도행전 7장 30절, 35절, 38절에도 스데파노는 "한 …
Name: 김응렬  |  Date: 2018-03-09  |  Hit: 488
32. [5편-2] 성령, 악령, 천사의 정체... 인류 앎의 성장역사
(3) 성령에 대한 분석 성령도 인간영이에요. 사도행전 8장29절에 보면 "성령이 필립보에게 "가서 저 마차에 바싹 다가서 보아라." 말씀하셨다고 하였고 로마서 8장15절~16절에도 "성령은 여러분을 하느님의 자녀로 만들어 주시는 분입니다. 우리는 그 성령에 힘입어 하느님을 아빠, 아버지라고 부릅니다." 라고 했으며, 로마서 8장2…
Name: 김응렬  |  Date: 2018-01-31  |  Hit: 520
31. [5편-1] 성령, 악령, 천사의 정체.. 인류 앎의 성장역사
시리즈 5편은, 성서에 기록된 천사, 성령, 악령 등에 관한 분석과 각각의 차이점 및 역할, 또한 악령의 구원이 가능한 이유와 방법 및 창세기의 의미 분석, 더불어 중앙아시아에서 시작된 세계의 모든 종교가 핵심(核心)사상은 모두 삼위일체(3位1體)라는 것과 성서에 나오는 십일조, 3 ,4, 12 ,40, 70, 144000 등 자주 등장하는 숫자에 대한 …
Name: 김응렬  |  Date: 2018-01-04  |  Hit: 511
30. [옛글 공부 - 3] 東洋의 노블레스 오블리주 (2)
  富而好禮者也 부이호례자야부와 명예, 그리고 그에 걸맞는 높은 사회적 지위와 명예는 그에 상응하는 도덕적 의무가 따르게 됩니다.1808년 프랑스에서 처음 사용된 용어,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전통은 서구사회 깊숙이 스며들어 개인중심주의의 한계를 보완하고 사회의 共同善을 이룩하는…
Name: 김응렬  |  Date: 2017-12-11  |  Hit: 534
29. [4편-4] 사후세계는 어떻게 생겼을까 ?
(13) 지복에 이르는 두 가지 원인      첫째원인 : 피조물인 인간이 창조주인 하느님에게 무한의 복종과 인내를 보여드림으로써, 창조주 하느님과 피조물인 인간의 관계를 행동으로 실천(전체의식의 삶)하며 인정하는 거예요.   무한도 두 가지가 있으니, 1.처한 여건에서 최선을 다하는 동(動)적인…
Name: 김응렬  |  Date: 2017-11-28  |  Hit: 485
1 2 3 4 5



- 맨위로 -